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7 Warning: chmod()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3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8 Warning: fopen(/home/virtual/jikm/journal/upload/ip_log/ip_log_2025-07.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95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96 A Case Report of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 with Improv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Following Treatment with Saenggangunbi-tang
|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 Volume 46(2); 2025 > Article
생간건비탕 투여 후 심혈관 대사 위험도 개선을 보인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치험 1례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Korean medicine-specifically Saenggangunbi-tang-on a patient diagnosed with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

Methods:

A 36-year-old male diagnosed with MASLD received treatment consisting of Saenggangunbi-tang, along with regular exercise and dietary modifications, over 23 weeks, from September 28, 2024, to March 8, 2025. Treatment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lipid profiles, glycated hemoglobin (HbA1c), body composition v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Body), the Framingham Steatosis Index (FSI), and self-reported clinical symptoms.

Results:

The treatment resulted in improvements in lipid profiles, HbA1c, body composition parameters, FSI scores, and clinical symptoms. Notably,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HbA1c levels decreased to within normal ranges, visceral fat area was reduced, and subjective symptoms improved as measured on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aenggangunbi-tang may offer a promising integra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managing MASLD and mitigating associat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 서 론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은 영상 혹은 조직검사로 간 지방증이 확인되어 지방간질환(steatotic liver disease, SLD)으로 진단되고, 심혈관 대사 위험 인자 5가지 중 적어도 1가지 이상이 동반되며, 알코올 섭취량이 남성의 경우 하루 30 g 미만, 여성의 경우 하루 20 g 미만인 경우로 정의된다. MASLD의 심혈관 대사 위험 인자는 체질량지수 혹은 복부둘레, 혈당,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항목으로 구성된다1,2.
MASLD는 2023년 미국과 유럽 간학회의 주도로 전문가 합의에 따라 제안된 용어로서, 기존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에서 대사 이상 중심의 질환 특성을 강조하면서, ‘fatty’의 부정적 의미를 완화하고 알코올 섭취량에 대한 기준을 보완하고자 제시되었다1-3. 이러한 MASLD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의 유병률을 보이며, 비만 및 제2형 당뇨병의 증가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유병률 상승이 예상된다1,4. 최근 20~30대 젊은 연령층에서 유병률 증가가 관찰되고 있으며, 이 연령대의 MASLD 환자에게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4,5.
MASLD의 병리기전은 완전히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인슐린 저항성, 지방산 독성, 산화 스트레스, 내장지방 축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현재까지 안전성과 유효성의 문제로, 승인된 MASLD의 치료 약물이 없고, 표준 치료는 생활 습관 교정 중심의 비약물 치료가 우선되며, 약물 치료는 동반된 대사 질환의 치료로서 활용된다1.
본 연구에서 활용한 생간건비탕은 임상에서 간질환에 널리 활용되는 대표적인 처방으로7, 기존의 증례 보고에서 간기능 및 지질 수치, 간 지방증, 임상증상의 개선 등이 보고되었으나7-9, 혈당 개선, 체성분 지표 변화 및 심혈관 대사 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증례의 MASLD 환자에게 23주간 생활 습관의 교정을 병행하며 생간건비탕 엑스산제를 투여한 결과, 지질 및 혈당 수치, 체성분 지표,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 임상증상에서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이에 본 증례는 한의학적 접근을 통해 MASLD 환자의 심혈관 대사 위험도 개선의 가능성을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는 후향적 증례 보고로서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임상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다(IRB File No. 2025-04-006).

II. 증 례

1. 성별/나이 : 남성/36세
2. 내원 기간 : 2024년 9월 20일~2025년 3월 8일
3. 주소증 : 피로, 소화불량(복부팽만감 중심)
4. 현병력
만성적인 야근과 업무 스트레스를 겪던 174 cm, 87.5 kg의 환자로, 2022년 9월 5일 OO대학교 병원 건강검진에서 경도 지방간 및 비만, 이상지질혈증의 경계치, 당뇨 전단계, 고요산혈증의 소견이 있었고, 2024년 8월 26일 △△병원 건강검진에서 중등도 지방간 및 기존 이상 소견의 지속이 확인되었다. 이후 피로와 소화불량을 주소로 2024년 9월 20일 ○○대학교 한방병원 간장・조혈내과 외래에 내원하였다.
5. 복약력 : 없음
6. 사회력 : 음주력(-), 흡연력(-)
7. 혈압 및 맥박수
1) 2024년 9월 20일 : 137/98 mmHg(77 bpm)
2) 2024년 9월 28일 : 143/89 mmHg(54 bpm)
8. 계통적 문진 : 식욕, 소변, 수면은 특이 소견 없음
1) 대 변 : 규칙적(매일 1회), 특정 음식(매운 음식, 날생선) 섭취 시 장과민
2) 기 타 : 희량(喜涼), 다한(多汗), 간헐적인 상열감 및 가슴 답답함 호소
9. 주요 검사 결과
2024년 8월 26일(△△병원)의 건강검진 이후 2024년 9월 20일 본과에 내원하였고, 치료 전 평가를 위하여 2024년 9월 28일 ○○대학교 병원에서 체성분 및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1) 복부초음파검사 : 2022년 9월 5일 (○○대학교 병원)에는 경도 지방간(Fig. 1), 2024년 8월 26일에는 중등도 지방간 소견이 확인됨
Fig. 1
Liver ultrasound.
Mild fatty liver.
jikm-46-2-303-g001.jpg
2)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 2024년 8월 26일에는 28.9 kg/m2, 2024년 9월 28일에는 28.7 kg/m2로 측정됨
3) 혈액검사 및 관련 지표
(1) 혈액검사(2024년 8월 26일, 2024년 9월 28일)
ⓛ 지질 수치 및 당화혈색소 검사(Table 1)
Table 1
Blood Test Results
Reference range 2024-08-26 (△△병원) 2024-09-28 (○○대학교 병원)
Total-C < 200 mg/dL 228 ▲ 208 ▲
TG < 150 mg/dL 127 159 ▲
LDL-C < 130 mg/dL 150 ▲ 134 ▲
HDL-C 40~60 mg/dL 61 ▲ 45
HbA1c 4.5~5.6% 5.8 ▲ 5.7 ▲

Total-C : total cholesterol, TG : triglyceride, LDL-C :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bA1c : glycated hemoglobin

② 일반혈액검사 및 간기능검사 항목(AST, ALT, ALP, γ-GTP) : 특이 소견 없음
(2) Fibrosis-4 index(FIB-4)(2024년 9월 28일) : 0.60 해당일에 시행한 혈액검사상 AST 23(<35 U/L), ALT 23(<35 U/L), Platelet 290(150~350 103/μL)이 확인되어, FIB-4는 ‘(Age x AST)/ (Platelet x √ALT)’의 공식으로 산출되었다1,10.
4) 바이러스간염검사(2024년 8월 26일)
(1) HBsAg/anti-HBs : Negative/Negative
(2) Anti-HCV Ab : Negative
5) 심전도검사, 흉부 X-ray(2024년 8월 26일) : 특이 소견 없음

III. 연구 방법 및 결과

1. 치료 기간

2024년 9월 28일~2025년 3월 8일(23주간)

2. 치료 내용(Fig. 2)

Fig. 2
Timeline.
SGGBT : saenggangunbi-tang, TID : ter in die, BID : bis in die, MET-min/week : metabolic equivalent of task-minutes per week, CBC : complete blood count, LFT : liver function test, FSI : framingham steatosis index, HbA1c : glycated hemoglobin
jikm-46-2-303-g002.jpg

1) 한약 치료

환자는 본원에서 조제한 생간건비탕(生肝健脾湯) 엑스산제 6 g(Table 2)을 2024년 9월 28일부터 30일간 하루 3회(1회 1포)로 복용하다가, 환자 상태 호전되어 이후 하루 2회(1회 1포)로 감량하여 90일간 매 식후 30분에 복용하였다.
Table 2
Herbal Composition of Saenggangunbi-tang (Extract)
Herbs Scientific name Dose (g)
茵蔯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15
澤 瀉 Alisma orientalis (Sam) Juzep 9
山 査 Crataegus pinnatifida Bunge 7.5
麥芽炒 Hordeum vulgare L. 7.5
蒼 朮 Atractylodes chinensis (D.C) Koidz. 3.75
白 朮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3.75
豬 苓 Polyporus umbellatus (Pers.) Fries 3.75
赤茯苓 Poriacocos (Schw.) Wolf 3.75
厚 朴 Magnolia officinalis Rehderet Wilson 3.75
陳 皮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3.75
萊菔子 Raphanus sativus L. 3.75
砂 仁 Amomum villosum Lour. 2.65
神麯炒 Triticum aestivum L. 2.65
靑 皮 Citrus unshiu Markovich 2.65
龍 膽 Gentiana scabra Bunge 2.65
藿 香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er) O. Kuntze 2
半 夏 Pinellia ternate (Thunb.) Breit. 2
大腹皮 Areca catechu L. 2
三 稜 Scirpus flaviatilis (Torr.) A. Gray 2
莪 朮 Curcuma zedoaria Rosc. 2
甘 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 2
生 薑 Zingiber officinale Rosc. 3.75

2) 운동

환자의 진술을 기반으로 기록하였으며, 주간 총 신체활동량(Metabolic Equivalent of Task-minutes per week, MET-min/week)은 ‘각 활동의 MET 값×시행 시간(분)×주당 빈도’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각 운동의 MET 값은 2024년 개정 신체활동 목록집11을 바탕으로 평균을 계산하여 적용하였다.
  • (1) 내원 전~3주차 : 걷기, 주 1회, 1회당 30분(약 124.5 MET-min/week)

  • (2) 4~11주차 : 걷기, 주 4회, 1회당 30분(약 498 MET-min/week)

  • (3) 12~13주차 : 산책과 근력 운동, 주 2-3회, 1회당 20분(약 92-330 MET-min/week)

  • (4) 14~17주차 : “연말 일정으로 운동을 거의 하지 못하였다.”라고 응답함

  • (5) 18~23주차 : 산책, 주 7회, 1회당 30분(약 609 MET-min/week)

3) 식이

환자의 진술을 기반으로 기록하였다.
  • (1) 1~4주차 : 아침은 생략, 점심과 저녁은 1인분의 식사량을 섭취함

  • (2) 5~23주차 : 아침은 가볍게 섭취(빵, 오이, 오트밀 등), 점심은 평소 식사량의 50%, 저녁은 샐러드 위주로 섭취함

3. 평가 방법 및 치료 경과(Fig. 2)

혈액검사 및 체성분 검사는 공복 상태로 오전 8시에서 9시 30분 사이에 시행하였다. 지질 검사는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간기능 검사는 total bilirubin, AST, ALT, ALP, γ-GTP의 항목을 시행하였다.

1) 혈액검사

  • (1) 지질 검사 결과(Fig. 3)

  • (2) 당화혈색소 검사 결과(Fig. 4)

  • (3) 기타 혈액검사 결과(Table 3)

Fig. 3
Changes of lipid profile results.
Total-C : total cholesterol, TG : triglyceride, LDL-C :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jikm-46-2-303-g003.jpg
Fig. 4
Changes of HbA1c result.
HbA1c : glycated hemoglobin.
jikm-46-2-303-g004.jpg
Table 3
Liver Function Test and Uric Acid Level
Reference range Baseline Week 4 Week 11 Week 17 Week 23
T-Bili 0.3~1.2 mg/dL 1.62 ▲ 1.25 ▲ 1.27 ▲ 1.94 ▲ 1.62 ▲
AST < 35 U/L 23 21 20 20 24
ALT < 35 U/L 23 23 16 18 22
ALP 30~120 U/L 75 79 72 81 79
γ-GTP 9~64 U/L 40 31 29 35 31
Uric acid 3.5~7.2 mg/dL 8.5 ▲ 8.7 ▲ 8.9 ▲ 7.7 ▲ 8.2 ▲

T-Bili : total-bilirubin, AST : aspartate aminotransaminase, ALT : alanine aminotransaminase, ALP : alkaline phosphatase, γ-GTP : gamma-glutamyl transferase

2) 체성분검사

체성분 분석기인 InBody 720(Biospace Co.,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BMI, 내장지방 단면적, 허리-엉덩이 비율과(Table 4),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골격근량을 측정하여(Fig. 5), 체성분 지표 변화를 평가하였다.
Table 4
Changes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Findings
Baseline Week 4 Week 11 Week 17 Week 23
BMI (kg/m2) 28.7 28.0 27.4 27.4 27.3
VFA (cm2) 137.7 124.7 123.4 121.2 108.7
WHR 1.00 0.98 0.98 0.99 0.96

BMI : body mass index, VFA : visceral fat area, WHR : waist-hip ratio

Fig. 5
Changes of body composition parameters.
Body fat percentage (BFP) i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 (body fat mass [kg]÷body weight [kg])×100. The calculated BFP values are presented below the each body fat mass value within the bars.
jikm-46-2-303-g005.jpg

3)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Framingham Steatosis Index, FSI)

2016년 Long 등12에 의해 개발된 지방증 위험 예측 검사인 FSI는, AUC(Area Under Curve) 0.78~0.80의 진단 정확도를 보이며, 2023년 한국인 대상 전국 코호트 연구13에서 젊고 비만한 인구에서 심혈관 위험도 예측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FSI는 나이, 성별, BMI, triglyceride(TG), ALT/AST의 비율, 고혈압 유무, 당뇨병 유무를 토대로 점수를 산출하며 값이 클수록 지방증의 위험이 크고 심혈관 질환(CVD)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13.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결과값은 소수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표기하였다(Fig. 6).
Fig. 6
Changes of framingham steatosis index.
jikm-46-2-303-g006.jpg
FSI=-7.981+0.011×age(years)-0.146×sex(female=1, male=0)+0.173×BMI(kg/m2)+0.007×triglycerides (mg/dL)+0.593×hypertension(yes=1, no=0)+0.789 ×diabetes(yes=1, no=0)+1.1×ALT/AST ratio≥1.33 (yes=1, no=0)

4) 임상증상 변화

피로감 및 소화불량 증상은 환자의 진술을 위주로, NRS (Numeric Rating Scale) 척도는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Table 5). 증상이 없는 0에서 가장 심한 정도인 참을 수 없는 정도를 10으로 하여 0~10 사이의 자연수 상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 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14.
Table 5
Clinical Progress of the Symptoms
Baseline Week 4 Week 11 Week 17 Week 23
Fatigue +++ (NRS 10) ++ (NRS 7) ++ (NRS 6) ++ ++~+
Dyspepsia +++ (NRS 10) ++ ++ (NRS 5) + -

+++ : severe, ++ : moderate, + : mild, ± : occurred intermittently, - : non-existed

환자는 치료 종료일인 23주차에”최근 업무상 과로가 지속되지만 이전보다 확실히 피로감이 덜하고, 소화는 불편하지 않아요.”라고 응답하였다.

IV. 고 찰

기존의 NAFLD에서 대사 질환 유병률의 증가를 반영하여 2020년에는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MAFLD)의 용어가 제안되었다. 이후 ‘fatty’의 부정적 의미를 완화하고, 알코올 섭취량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반영하여 2023년에는 미국과 유럽 간학회의 주도로 전문가 합의에 따라 MASLD가 제안되었으며, 대한 간학회에서는 2024년 6월 이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였다1-3. 이러한 MASLD는 특히 20~30대 젊은 연령층에서 유병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 연령대에서 발생한 MASLD는 CVD 위험 증가와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어 조기 진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1,5.
MASLD 진단의 표준은 간의 조직검사이지만, 임상적으로 다음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하면 진단할 수 있다. 1) 영상 혹은 조직검사로 간 지방증을 확인하여 SLD를 진단한다. 2) 다음의 5가지 심혈관 대사 위험인자 중 한 가지 이상을 동반한다. 심혈관 대사 위험인자는 (1) 한국인의 경우 BMI≥23 kg/m²혹은 남성 허리둘레≥90 cm, 여성 허리둘레≥85 cm, (2) 공복혈당≥100 mg/dL 혹은 식후 2시간 혈당≥140 mg/dL 혹은 당화혈색소≥5.7% 혹은 제2형 당뇨병이 있거나 약물치료 중인 경우, (3) 혈압≥130/85 mmHg이거나 약물치료 중인 경우, (4) TG≥150 mg/dL이거나 약물치료 중인 경우, (5) 남성 HDL cholesterol<40 mg/dL, 여성<50 mg/dL이거나 약물치료 중인 경우의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한다1,3.
MASLD의 치료는 생활 습관 교정 중심의 비약물 치료 및 동반된 대사 질환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1. 선택적으로 스타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SGLT)-2 저해제, Pioglitazone, 고용량 비타민 E 등의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으나, 위장장애, 근육 감소 및 일부 약제의 경우 장기 투여 시 중대한 부작용 발생이 보고된다1,15. 최근 경구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베타(THR-β) 작용제인 Resmetirom은, 대사이상 지방간염(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MASH) 치료제로서 2024년 3월 14일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조건부 승인을 받았으나, 장기적인 안전성과 유효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여 현재까지 확립된 표준 치료 약물은 없다1.
본 증례의 환자는 복부 초음파 상 2022년 9월 5일 경도 지방간, 2024년 8월 26일 중등도 지방간 소견으로, SLD로 진단하였다. 2024년 8월 26일 건강검진 상 BMI는 28.9 kg/m2로 1단계 비만(BMI 25.0~29.9 kg/m2)15, 당화혈색소는 5.8%로 당뇨 전단계(당화혈색소 5.7~6.4%)로 심혈관 대사 위험인자 2가지가 확인되었다. 첫 내원 이후 치료적 개입을 보류하다가 2024년 9월 28일 시행한 검사상, 1단계 비만(BMI 28.7 kg/m2), 당뇨 전단계(당화혈색소 5.7%)가 재확인되고, TG가 159 mg/dL(≥150 mg/dL)로 상승되어 심혈관 대사 위험인자 3가지가 확인되었다. 혈압은 2차례의 내원 당시 진료실 혈압 기준으로 1기 고혈압에 해당하였으나 이후 혈압 평균치에 대한 추가 확인이 어려워 보류하였다. 환자는 음주하지 않고 복용하는 약물이 없었으며, 바이러스간염 검사상 B형, C형의 항원이 음성으로 확인되어, MASLD로 진단하였다. 이러한 MASLD의 초기 평가 시 FIB-4와 같은 비침습적 지표를 통하여, 간섬유화의 정도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다1,10. 본 증례 환자의 FIB-4는 0.60(FIB-4<1.3)으로 섬유화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피로와 복부 팽만감 중심의 소화불량을 주소로, 평소 장과민, 희량(喜涼)하면서 다한(多汗)한 양상을 보였으며, 간헐적으로 상열감과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였으나 심전도 및 흉부 X-ray 검사상 특이 소견은 없었다. 이에 생간건비탕 엑스산제를 활용하였으며, MASLD 병태와의 연관성 측면에서 간 지방독성에 대한 보호16, 세포 내 TG의 감소 및 산화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17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생간건비탕은 인진오령산과 가감위령탕의 합방에서 백작약, 육계, 반하 등을 제외한 처방 구성으로7, 주요 구성 약재인 인진호, 택사의 지질 수치 개선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18,19. MASLD의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생간건비탕을 투여한 기존의 증례 보고에서는 간기능 및 지질 수치, 간 지방증, 임상증상의 개선 등이 보고되었으나7-9, 혈당 개선, 체성분 지표 변화 및 심혈관 대사 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23주간 생활 습관의 교정을 병행하면서 생간건비탕 엑스산제를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를 확인하였다.
첫째, 혈액검사상 지질 수치 및 혈당 수치가 정상 범위 내로 개선되었다(Fig. 3, Fig. 4). 지질수치 중 TG는 159 mg/dL에서 58 mg/dL 감소, total cholesterol은 208 mg/dL에서 11 mg/dL 감소, LDL cholesterol은 134 mg/dL에서 7 mg/dL 감소되어 TG,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이 정상 범위 내로 개선되었으며, HDL cholesterol은 45 mg/dL에서 7 mg/dL 증가하여, 생간건비탕의 지질 대사 조절 효과를 제시한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7-9,16-19. 또한, 당화혈색소는 5.7%에서 0.2% 감소하여 정상 범위 내로 개선되었다.
둘째, 체성분 지표가 골격근량의 감소 없이 개선되었다(Table 4, Fig. 5). 체중은 86.9 kg에서 82.7 kg로 4.83% 감소하였고, BMI는 28.7 kg/m2에서 27.3 kg/m2으로 개선되었다. 일반적으로 3~6개월 이상의 생활 습관 교정 시 약 3%의 체중 감소가 보고되며15, 비만한 MASLD 환자는 체중의 5% 감량 시 간내 중성지방 함량이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 본 증례에서도 간내 지방량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체성분 분석 결과, 제지방량은 0.1 kg 감소에 그쳤고, 골격근량은 유지되어 전체 체중 감소량의 대부분(약 97%)은 체지방 감소에 기인하였다. 또한, 내장지방면적은 137.7 cm2에서 108.7 cm2로 감소하였으며, 허리-엉덩이 비율은 1.00에서 0.96으로 감소하여 MASLD 환자의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심성 비만의 개선을 확인하였다1.
셋째, FSI 점수의 감소로, 간 지방증 및 심혈관질환(CVD)의 발생 위험이 감소하였다(Fig. 6). 치료 전 평가 시 FSI는 -1.51로 2023년 한국인 대상 전국 코호트 연구에서의 3사분위수(-2.1≤FSI<-1.3)에 해당하였다. 23주차의 FSI는 0.65 감소하여 -2.16(-2.8≤FSI<-2.1)으로, 2사분위수로 개선되어 간 지방증의 가능성 및 CVD의 발생 위험이 감소하였다12,13.
넷째, 피로와 소화불량의 임상증상이 개선되었다(Table 5). 환자는 치료 전에는 NRS 10에 해당하는 피로 및 소화불량을 호소하였으나, 초기 11주간의 치료 후. 피로감은 40%, 소화불량은 50% 개선되었다. 치료 종료일인 23주차에는 과로 상황은 지속되었으나 피로감이 감소하였고, 소화불량은 정상으로의 호전을 확인하고 치료를 종료하였다.
23주간의 AST, ALT, ALP, γ-GTP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었고, 치료 전 상승 소견이었던 total bilirubin은 1.62 mg/dL로 유지되었으며, 요산 수치 또한 8.5 mg/dL에서 8.2 mg/dL로 다소 감소하면서 유지되었다(Table 3).
본 증례의 환자는 초기 4주간 감량된 체중의 50%(2.1 kg) 및 FSI 점수 감소량의 약 75%(0.5)가 집중되었다. 4주간 생간건비탕 엑스산제를 하루 3회 복용하였으며, 초기 3주간 식이 및 운동 교정 없이, 이후 1주간에만 약 498 MET-min/week의 운동을 수행하였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하는 중강도 운동은 3.0≤METs<6.0으로 정의되며20, MASLD 환자의 최소 권고량은 대한 간학회 기준 270≤MET-min/week<5401, 미국 및 유럽 간학회 기준 450≤MET-min/week<900으로 계산된다2,21. 따라서 초기 4주간의 체중 및 FSI 점수 개선은 생간건비탕 복용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증례는 MASLD 환자에게 23주간 생활 습관의 교정과 생간건비탕 엑스산제 투여를 병행하여, 지질 및 혈당 수치, 체성분 지표의 개선과 FSI 점수의 감소에 따른 간 지방증 및 CVD 발생 위험의 완화, 피로와 소화불량 증상의 호전을 확인하였다. 골격근량이 유지되면서 내장지방이 감소하여, MASLD 치료에서 생간건비탕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단일 증례라는 점과 치료 후 간내 지방증의 개선을 영상 검사로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한약 치료와 생활 습관 교정을 병행하여 생간건비탕 단일 중재의 영향을 해석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기존 연구에서는 생간건비탕 혹은 주요 구성 약재의 간세포 보호 및 지질 개선에 대한 유효성 보고가 있었으나16-19, 혈당 지표에 대한 직접적인 근거는 부족하므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향후 지속적인 증례 보고와 높은 근거 수준의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증례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 환자에게, 23주간 생활 습관의 교정을 병행하며 생간건비탕 엑스산제를 투여한 결과, 지질 및 혈당 수치, 체성분 지표,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FSI), 임상증상에서의 개선이 관찰되어, 한의학적 접근을 통한 MASLD의 심혈관 대사 위험도 개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1. Sohn W, Lee YS, Kim SS, Kim JH, Jin YJ, Kim GA, et al.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dysfunction- 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2025. Clin Mol Hepatol 2025:31(Suppl):S1–31.
crossref pmid pmc pdf
2. Kanwal F, Neuschwander-Tetri BA, Loomba R, Rinella ME.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Update and impact of new nomenclature on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practice guidance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atology 2024:79(5):1212–9.
crossref pmid
3. Rinella ME, Sookoian S. From NAFLD to MASLD:updated naming and diagnosis criteria for fatty liver disease. J Lipid Res 2024:65(1):100485.
crossref pmid pmc
4. Chung GE, Yu SJ, Yoo JJ, Cho Y, Lee KN, Shin DW, et al.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increase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young adults. Nat Med 2025:15(1):5777.
crossref pmid pmc pdf
5. Manolis AA, Manolis TA, Vouliotis A, Manolis AS.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Trends Cardiovasc Med 2025:35(4):258–65.
crossref pmid
6. Li Y, Yang P, Ye J, Xu Q, Wu J, Wang Y. Updated mechanisms of MASLD pathogenesis. Lipids Health Dis 2024:23(1):117.
crossref pmid pmc pdf
7. Kim NY, Yoon MJ, Choi HS, Kim SM, Kim SC, Kim KS.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Int Korean Med 2022:43(4):680–719.
crossref pdf
8. Hwang CH, Lee JY, Lee EK, Jang EG, Kim YC, Lee JH. Case report of metabolic dysfunction- 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treated with Saenggangunbi-tang. J Int Korean Med 2023:44(2):138–45.
crossref pdf
9. Yang HJ, Park JK, Kwon SY, Woo HJ, Lee JH, Kim YC. A clinical study of 5 cases of patients who hav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treated by Saenggangeonbi-tang. J Int Korean Med 2011:32(2):141–51.

10. Kim MN, Han JW, An JH, Kim BK, Jin YJ, Kim SS, et al.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noninvasive tests to assess liver fibrosis in chronic liver disease. Clin Mol Hepatol 2024:30(Suppl):S5–105.
crossref pmid pmc pdf
11. Herrmann SD, Willis EA, Ainsworth BE, Barreira TV, Hastert M, Kracht CL, et al. 2024 adult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 third update of the energy costs of human activities. J Sport Health Sci 2024:13(1):6–12.
crossref pmid pmc
12. Long MT, Pedley A, Colantonio LD, Massaro JM, Hoffmann U, Muntner P,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ramingham Steatosis Index to identify persons with hepatic steato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6:14(8):1172–80.e2.
crossref pmid pmc
13. Cho YK, Kim MJ, Kim YJ, Jung CH, Lee WJ, Park JY. Predictive value of the Framingham Steatosis Index for cardiovascular risk: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Front Cardiovasc Med 2023:10:1163052.
crossref pmid pmc
14. Lee C, Cho IH, Heo GY, Kang HK, Kim MH, Han CW, et al. Analysis of the Numeric Rating Scale(NRS) used in clinical studies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J Int Korean Med 2021:42(4):510–31.
crossref pdf
15. Kim WJ. Current state of pharmacotherapy in obesity. Korean J Gastroenterol 2024:83(3):94–101.
crossref pmid
16. Kim JY, Kim YC, Lee JH, Woo HJ. The effects of Saengkankunbi-tang on proliferation, apoptosis, and cell signaling pathways of HepG2 cells. J Int Korean Med 2006:27(1):149–65.

17. Hong SI. The effects of Saengkankunbi-tang and its composition on free fatty acid-induced lipotoxicity in HepG2 cells. J Int Korean Med 2013:34(1):14–30.

18. Jang EG, Shin MH, Kim KS, Kim YM, Na YC, Woo HJ, et al. Anti-lipoapoptotic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free fatty acids-induced HepG2 cell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14:253.
crossref pmid pmc pdf
19. Jeong HS, Cho YH, Kim KH, Kim YM, Kim KS, Na YC, et al. Anti-lipoapoptotic effects of Alisma orientalis extract on non-esterified fatty acid-induced HepG2 cell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6:16:239.
crossref pmid pmc
20. Bull FC, Al-Ansari SS, Biddle S, Borodulin K, Buman MP, Cardon G, et al.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guidelines 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Br J Sports Med 2020:54(24):1451–62.
pmid
21. Alabdul Razzak I, Fares A, Stine JG, Trivedi HD. The role of exercise in steatotic liver diseases: An updated perspective. Liver Int 2025:45(1):e16220.
pmid
Editorial Offic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27, Dongguk-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10326 Korea
TEL: +82-31-961-9046   FAX: +82-31-961-9049   E-mail: jikm.edit@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Developed in M2PI      |      Admin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