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연자탕 복용에 따른 생체 징후, 혈액 검사, 기능 검사 결과의 변화
Changes in Results of Vital Signs, Blood Tests, and Functional Tests after Taking Cheongsimyeonja-tang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eongsimyeonja-tang on the human body.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ppropriate clinical cases were identified and databased through EMR. Changes of vital signs, blood tests, and functional tests before and after taking Cheongsimyeonja-tang were determined.
Results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changes after taking Cheongsimyeonja-tang. Hemoglobin, total blood proteins, and total bilirubin were increased. Eosinophil,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decreased.
Conclusions
Cheonseomyeonja-tang had significant effects, including improvement of blood cell count (increase of red blood cells and hemoglobin), improvement of blood lipid level (decrease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control (reduc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I. 서 론
청심연자탕은 이제마의 ≪東醫壽世保元≫의 처방으로, 사상의학에서는 太陰人肝受熱裏熱病에 사용되는 처방이나, 임상에서는 虛勞, 腹痛, 泄瀉, 中風, 心臟病, 神經性疾患 등 다양한 질환과 증후에 사용되고 있다1-3.
기존에 보고된 증례보고에서, 청심연자탕은 본태성 진전4, 중추성 현훈과 소뇌성 보행 실조5, 소뇌 경색6, 두통7, 돌발성 난청8, 메니에르 증후군9 등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순환신경계의 제반 질환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청심연자탕의 실험 연구에서는 해마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적인 효과가 있다는 보고10와 대뇌 신경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킨다는 보고11가 있어 신경 손상의 억제에 유의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심근세포에서 adriamycin에 의한 독성을 방어하고, 심장의 박동수를 유의하게 회복시킨다는 보고가 있다12. 이외에도 뇌경색 환자의 혈장 중 세포 활성 물질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비정상적인 면역학적인 반응을 억제하고 정상화하여, 뇌경색 환자의 세포 활성 물질의 불균형을 조절한다는 보고가 있다13.
본 연구에서는 청심연자탕을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였을 때 환자에게 어떤 유효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임상실험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탕약 복용에 따른 환자의 생체 징후, 혈액 검사, 기능 검사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임상 증례를 수집하고, 통계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해보았다.
II. 연구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13년 3월 10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부산대학교한방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 중 같은 기간에 같은 질환으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서 협진을 받았으며, 입원 중 청심연자탕을 복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2. 자료 수집
연구대상의 임상 자료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통해 확보하였고, 임상증례수집양식을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임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본적으로 환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입/퇴원 관련 정보, 진단명, 과거력, 사회력, 가족력 등을 조사하였고, 환자들의 생체 징후, 혈액 검사, 기능 검사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체징후로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체온, 심박수, 혈당, 산소포화도 등을 수집하였고, 기능평가로는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NIHSS),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thel Index(K-MBI), 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MMAS)을 조사하였다. 혈액검사는 complete blood cell count(CBC), liver function test(LFT), renal function test(RFT), lipid profile 결과를 수집하였다(Appendix 1).
3. 분석 방법
우선 청심연자탕을 복용한 환자들의 기본정보를 분석하고, 청심연자탕이 주로 어떤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처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청심연자탕 복용 전후로 생체 징후, 혈액 검사, 기능 검사 결과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통계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paired t-test가 사용되었으며, IBM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였다.
III. 결 과
1. 기본정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증례는 총 139례였다. 남자는 64명이고 여자는 75명이었다. 평균 나이는 63.45세였고, 평균 신장 161.37 cm, 평균 몸무게 66.43 cm였다. 고혈압이 있는 환자는 91명으로 전체 환자 중 65.47%에 해당되었고, 당뇨가 37명, 이상지질혈증은 45명이었다(Table 1).
2. 청심연자탕을 처방한 환자 군의 진단명 분석
본 연구에서 전체 139례의 증례 중 cerebral infarction을 진단받은 환자가 60례로 가장 많았고, intracerebral hemorrhage가 29례, subarachnoid hemorrhage,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가 각각 6례로 나타났다. 전체 139례 중에서 107례가 뇌졸중(stroke)과 관련된 진단명으로 분석되었다(Fig. 1).
3. 탕약 복용 전후 검사결과 변화
청심연자탕을 복용한 환자의 탕약 복용 전후의 검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생체 징후와 혈액 검사 상에서 유의한 결과가 있었지만, 기능 검사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체 징후 중에서 systolic blood pressure(SBP)의 경우 탕약 복용 전 평균 117.11에서 탕약 복용 후 115.27로 약 1.84 감소하였다(p=.004). 하지만 DBP의 경우 유의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Table 2).
혈액검사 중 CBC에서 with blood cell(WBC)은 유의미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Red blood cell(RBC)은 평균 4.33에서 4.44로 약 0.11 증가 (p=0.031), hemoglobin은 평균 13.07에서 13.46으로 약 0.39 증가하였다(p=0.011). eosinophil은 평균 0.22에서 0.15로 약 0.07 감소하였으나(p=0.010),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basophil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Total protein은 평균 6.97에서 7.14로 약 0.17 증가하였다(p=0.030) (Table 3).
LFT에서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는 평균 28.51에서 25.47로 약 3.04 감소하였지만(p=0.044), alanine aminotransferase(ALT)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otal bilirubin은 평균 0.581에서 0.649로 약 0.069 증가하였다(p=0.049)(Table 3).
RFT에서 creatinine, urine nitrite, urine bacteria 등을 분석하였으나,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Table 3).
Lipid profile에서는 total cholesterol과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LDL-Cholesterol)에서 각각 29.78(p=0.015), 33.42(p=0.004)씩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 하지만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등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Table 3).
기능검사에서 탕약 복용 전 후의 NIHSS, K-MBI, MMAS 등을 분석하였으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Table 4)
IV. 고 찰
청심연자탕은 蓮子肉, 山藥, 麥門冬, 天門冬, 遠志, 石菖蒲, 酸棗仁, 龍眼肉, 柏子仁, 黃芩, 蘿蔔子, 甘菊으로 구성된 처방이다(Appendix 2). 이 처방은 太陰人肝受熱裏熱病에 사용되는 처방으로 출전은 이제마의 ≪東醫壽世保元≫ 新定太陰人病應用要藥二十四方이나, 본 서적에서는 처방구성만 제시되었고, 주치증, 치험례, 활용법에 대한 언급은 없다. ≪東醫四象新編≫1에는 청심연자탕의 주치병증이 虛勞, 夢泄無度, 腹痛, 泄瀉, 舌卷, 中風, 食滯, 胸腹痛으로 서술되어 있고, ≪四象醫學原論≫2에서는 心臟病, 神經性疾患, 怔忡, 健忘, 虛勞, 夢泄, 遺精, 高血壓, 中風 등에 사용한다고 하였다. ≪東醫壽世保元註釋≫3에서는 주치 병증이 太陰人의 虛勞로 기재 되어있고, ≪四象醫藥 性理臨床論≫14에서는 肝臟系熱性 心臟虛弱, 下血, 頭痛, 便祕에 사용하였다.
이처럼 청심연자탕은 본래 사상체질로는 태음인 처방에 해당되는 처방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의 경우 사상체질의 관점에서 체질을 진단하고 탕약을 처방한 것이 아니라, 환자의 복용 시 증상을 고려해 변증하여 처방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에서도 사상체질을 고려하지 않았다.
청심연자탕을 사용한 국내의 증례 보고를 살펴보면 본태성 진전4, 뇌경색을 동반한 심방세동15, 중추성 현훈과 소뇌성 보행 실조5, 오심 구토를 주소로 하는 소뇌 경색6, 두통7, 이명을 동반한 돌발성 난청8, 메니에르 증후군9, 강직성 척추염을 동반한 중증 궤양성 대장염16 등 다양한 질환과 증후에 대한 치험례가 보고되고 있다. 원전에 나타난 주치증과 다양한 증례 보고를 통해 청심연자탕이 순환신경계의 제반 질환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심연자탕에 대한 실험 논문 또한 많은 보고들이 있어왔다. 청심연자탕은 白鼠에서 분리 배양한 해마 신경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방어하는 효과가 있었으며10, 생쥐에서 분리한 대뇌 신경세포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방어하는 등의 신경계 보호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11. 또한, 청심연자탕이 생쥐의 배양 심근 세포에 adriamycin의 독성을 방어하고, 심박수 감소를 유의하게 회복시킨다는 보고12와, 뇌경색 환자에서 혈장 중 Interferon-γ(IFN-γ)와 interleukin-2 (IL-2) 등의 세포 활성 물질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interleukin-4(IL-4), interleukin-6(IL-6)와 immunoglobulin E(IgE) 수준을 감소시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세포활성물질의 불균형을 조절한다는 보고13가 있었다.
청심연자탕을 구성하는 주요 단미인 연자육과 산약에 대해서도 많은 실험 연구가 있었다. 연자육은 한의학적으로 補脾止瀉, 益腎澀精, 養心安神 하는 약재로, 불면, 불안, 폐경 후 우울증 등에 다용하는 약재이다. 실제 실험 연구에서도 연자육이 chronic mild stress 모델에서 해마와 전전두엽 피질 부위의 신경전달물질을 증가시켜 항우울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17,18. 또한, 심근수축기능의 저하 억제19, 항부정맥 효과20, 항산화 및 간 보호 작용21이 있음이 밝혀졌다.
산약은 골다공증에 대한 보호 효과22와 류머티스성 관절염 및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23가 있었으며, 위장관계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24가 있었다. 특히, 산약의 사포닌 성분인 diosgenin은 지질대사를 조절하는데, 혈중 LDL-cholesterol을 낮추며, 이 기전은 지질의 흡수 감소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가 있었다25. 이외에도 간기능과 신기능의 보호 효과26, 항염작용27 등의 효과와 관련된 보고가 있었다.
탕약 복용 전후의 생체 징후의 경우, 입원 이후 약 2일 동안 6회, 퇴원 이전 약 2일 동안 6회 측정한 생체 징후의 평균을 이용하여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BP가 청심연자탕 복용 전 평균 117.11에서 복용 후 115.27로 약 1.84 감소하여 혈압을 낮추는데 일정부분 유효한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청심연자탕의 심근수축기능 저하 억제, 항 부정맥 효과, 심근 세포의 독성 방어 효과 등 심 기능과 관련된 유효 효과들과 부분적으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diastolic blood pressure(DBP)와 pulse rate(PR) 등의 다른 지표에서는 유효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검사는 입원 시, 퇴원 시의 CBC, LFT, RFT, lipid profile을 조사하였으며, 청심연자탕 복용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CBC에서 환자 76명의 WBC를 분석한 결과 6.73에서 6.62로 약간의 감소가 있었으나 유의한 정도의 변화는 아니었다(p=0.823). 하지만 RBC는 평균 4.33에서 4.44로 약 0.11 증가 (p=0.031)하였고, hemoglobin은 평균 13.07에서 13.46으로 약 0.39 증가하였다(p=0.011). 또한 환자 49명의 total protein을 분석한 결과, 평균 6.97에서 7.14로 약 0.17 증가하였는데(p=0.030), 이를 통해 청심연자탕이 혈장 단백 및 혈구 수치 개선에 일정부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심연자탕은 뇌경색 환자에서 혈장 중 세포 활성 물질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세포활성물질의 불균형을 조절한다는 기존의 연구13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탕약 복용 전후로 eosinophil에서만 유의한 감소가 있었을 뿐, 이외의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basophil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청심연자탕의 주요 약재인 연자육과 산약은 간기능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연자육은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radical의 환원반응, 사염화탄소 및 aflatoxin B1으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에 기인한 간 보호 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고21, 산약 추출물은 prostaglandin E2 등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병태 생리학적인 전달 물질은 억제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26. 본 연구에서 청심연자탕 복용에 따른 LFT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77명의 환자에서 AST가 복용 전후 평균 28.51에서 25.47로 약 3.04의 유의한 감소를(p=0.044) 보여, 간기능 보호의 일정부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심연자탕의 복용 전후로 신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RFT 중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eGFR), uric acid 등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청심연자탕의 구성 약재인 산약이 급성 간, 신기능 손상 모델에서 세뇨관 및 간 괴사를 억제시켜, 간, 신기능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26.
청심연자탕을 복용한 환자 22명의 lipid profile을 분석한 결과, HDL-cholesterol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p=0.811), total cholesterol이 평균 185.73에서 155.95로 약 29.78 감소하였고 (p=0.015), 19명의 LDL-cholesterol은 평균 111.74에서 78.32로 약 33.42 감소하였다(p=0.004). 기존 연구결과에서 산약이 위장운동을 개선시키고, 장내 유효균을 증가시키며, 추가적으로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산약 추출물이 혈당,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의 경감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이상지질혈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소화 장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으며24, 지질 흡수를 감소시켜 혈중 LDL-cholesterol을 낮춘다는 보고가 있었다25. 본 연구에서도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혈중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청심연자탕을 복용한 전체 139명의 환자 중에서 이상반응이 보고된 환자는 없었다. 청심연자탕을 복용한 환자들의 진단명을 분류해보면, 뇌경색이 60례, 뇌출혈이 35례 등으로, 전체 139례 중 107례가 뇌졸중 진단을 받았다. 청심연자탕은 신경 손상을 회복시키고, 세포활성물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뇌졸중으로 발생한 신경 손상의 회복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부정맥 효과, 혈중지질수치 조절 등을 통해 뇌졸중 위험인자에 대한 조절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청심연자탕의 항우울효과를 통해 뇌졸중 이후 흔하게 발생하는 우울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심연자탕이 임상에서 환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첫째, 증례가 139례에 불과하여 추후 좀 더 많은 증례 수집을 통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연구가 단일 기관의 자료를 이용하여 진행되었기 때문에, 해당 기관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후에 다기관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분석 시 누락되는 임상 증례가 있었으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탕약 복용 일수가 일정하지 않았고, 분석에 사용된 혈액검사와 기능 평가의 시점이 증례에 따라 차이가 있어 분석 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혈액검사 결과가 정상범위 내에서의 변동이기 때문에 임상적인 의미에서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탕약 복용 중에 새롭게 추가되거나 변경된 양약 투약 또는 처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였다. 이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전향적 임상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임상 증례 수집과 자료 분석이 진행된다면 좀 더 유의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청심연자탕을 복용 전후로 변화를 분석하였고, 분석을 통하여 청심연자탕이 혈구수치개선(RBC 및 hemoglobin 증가), 혈중 지질수치개선(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감소), 혈압조절(systolic blood pressure 감소) 등의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기관주요사업인 ‘한의 유전체 역학 인프라 구축(K1709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