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례문헌 고찰을 통한 심장질환 및 관상동맥질환 한의치료 증례보고 현황 분석 및 증례보고항목 제언
Suggestions for Reporting Items in Case Reports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Heart Diseas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s: A Literature Review of Case Studies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summary of reporting items for case studies on patients with heart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n Korean medicine.
Method:
Reports were selected from three Korean databases using keywords related to heart and coronary artery disease. Tools for clinical evaluation, treatment duration, and follow-up period were extracted. A summary of the reporting checklist was presented, with input from methodology experts and clinicians. Quality assessments of the case reports were performed using the CARE and JBI checklists.
Results:
A total of 42 articles were select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ssessments included patient-reported outcomes for symptom evaluation alongside cardiac diagnostic modalities for assessing changes in cardiac pathology throughout the clinical course. Follow-up information for assessing cardiac disease progression was reported in only 12 out of 42 studies. The included reports showed a low reporting frequency for treatment adherence, adverse events, and the acquisition of informed consent.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case reports in Korean medicine on heart diseas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s, identifying diagnostic tools, evaluation methods, and reporting practices, and presented the necessary reporting items to enhance reporting quality and consistency.
I. 서 론
심장 및 관상동맥질환(Heart diseas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HD/CAD)은 전 세계적인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흔히 심근경색, 심방세동, 심부전 등을 포함한다. 204개국을 대상으로 한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전체 심혈관질환 유병 사례는 5억 2,300만 건, 사망자 수는 1,860만 명으로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1. 또한 심장질환은 우리나라 2020년 주요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며, 심장질환을 포함한 순환계 질환의 사망률은 100,000명당 121.1로, 2019년보다 3.1% 증가하였다2. 심근경색의 경우 전 세계 유병률은 60세 미만에서 3.8%, 60세 이상에서 9.5%로 고령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3. 심방세동의 발생률 또한 고령에서 증가하는 특징을 보이는 등, 심장질환은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한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료 및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4.
HD/CAD에 대한 표준치료는 기술발전과 함께 임상적 결과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여전히 일정한 한계를 가져 대체 및 보완의 요법이 필요하다. 심근경색의 경우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포함한 조기 및 효율적인 관상동맥 재관류가 주요 치료 목표로 자리잡고 있다5. 그러나 스텐트 사용은 특히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과 같은 특정 환자군에서 시술 후 여러 해가 지나도 스텐트 혈전증 또는 스텐트 내 재협착의 지속적인 위험이 있다는 중요한 한계가 있다6-8. 심방세동의 경우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이며, 그 기전 또한 복잡한 부정맥이다.9 항부정맥제를 사용한 부정맥 치료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부작용 발생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 이러한 한계에 대하여 한의 치료는 미충족 수요를 가진 HD/CAD 환자들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증상 관리를 통해 질환의 악화를 예방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HD/CAD에서의 한의 치료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그 유효성이 입증되어 왔다. 통심락(Tongxinluo)을 중재로 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 연구에 따르면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에게 표준 치료와 병용하여 통심락을 투여한 경우 30일 내 주요 심장 및 뇌혈관 이상 반응 발생률 및 1년 후 결과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10. 또한 기력강심(Qiliqiangxin)을 중재로 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 연구에 따르면 기력강심을 박출량 저하 심부전 환자에서 표준치료와 병용 투여한 경우 심부전 입원 및 심혈관 원인 사망의 주요 결과 발생률이 위약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다11. 이와 같은 연구들은 HD/CAD에 있어서 표준치료에 병행된 한의치료가 추가적인 임상적 가치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HD/CAD에 대한 한의 임상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HD/CAD에 대한 한의 치료의 임상근거 축적과 더불어 한의 임상에 활용 가능한 임상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한의 증례보고는 여전히 필요하다. 더불어 일차 의료기관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의 임상환경에 비해 연구와 분석을 통한 한의원 임상의의 증례보고가 부족한 현실임을 감안하여 일차의료에서의 증례보고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집 및 보고에 필요한 항목과 도구의 요약 또한 필수적이다. 한편, 증례보고의 질적 향상을 위해 CARE 지침과 같은 국제적 기준의 활용과 보고 충실성을 높이는 필수 항목에 대한 논의는 한의학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HD/CAD에 대한 한의 증례보고를 위해 어떤 평가항목을 활용하여 어떤 정보들을 수집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설계되었으며 임상 현장에서 HD/CAD의 진단뿐 아니라 초기 평가와 임상 경과 평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보고항목을 체계적으로 수집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증례보고 항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 가까운 증례보고들을 대상으로 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HD/CAD 환자가 한의원 또는 병원 등 임상현장에 내원하였을 때 증례보고를 위한 병력 청취와 임상적 추론에 활용할 검진도구와 평가도구, 한의 치료 전략 결정 시 확인한 정보 항목, 임상 경과 평가도구 등을 기존의 증례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Core Outcome set과 같은 도구는 일반 임상 환경에서 증례 보고를 위해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의 임상 환경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평가 항목과 도구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HD/CAD에 대한 증례보고의 충실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후속의 표준화된 증례보고 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 보고항목을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II. 방 법
1. 문헌 검색 방법
국내 연구 검색 데이터베이스로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2024년 8월 3일 검색을 시행하여 두 명의 연구자(JM and MS)가 각각 독립적으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심인성 쇼크,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병, 흉통, 호흡곤란, 두근거림 및 연관 검색어의 영어, 한국어 및 연관 한의학용어를 활용하였으며, 활용한 모든 검색어는 Supplementary file의 Table S1에 제시하였다.
2. 문헌 선정 기준
심장 및 관상동맥 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의학적 중재를 활용하여 증상의 호전도를 평가, 보고한 증례 및 후향적 차트 리뷰 연구를 선정하였다. HD/CAD 연관 증상을 주소증 또는 부수적 증상으로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증례 및 후향적 차트리뷰로, 한약 및 침구물리치료를 통해 환자를 치료하여 HD/CAD 연관 증상의 개선을 평가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증례 및 후향적 차트리뷰를 대상으로 하므로 대조군은 고려하지 않았다. 환자가 HD/CAD 연관 증상을 호소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연구 목적이 HD/CAD와 관련성이 없거나 해당 증상의 임상경과를 평가하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동물 및 세포 실험연구, 문헌고찰, 설문조사 연구, 한의학적 중재를 활용하지 않은 연구,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코호트연구, 사례대조군 연구, 연구 동향을 다룬 연구는 제외하였다. 원문 즉 full text를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제외하였다.
심장성 원인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지 않은 심계항진, 흉통에 대한 증례의 경우 증상이 존재하지만 표준 치료 범위에 해당이 되지 않거나 질환의 초기 증상으로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제하지 않았다. ‘Aortitis syndrome’, ‘Takayasu Arteritis’와 같은 혈관 질환은 자가면역반응, 염증, 또는 감염 등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만성 HD/CAD과 그 병리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검색에서 배제하였다. 또한 한국의 임상 환경을 반영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해외 국가에서 진행된 연구는 검색에서 배제하였다12.
3. 자료 추출
최종 선정된 증례들의 진단명, 주요 증상, 임상 소견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자 및 출판연도, 진료가 수행된 의료기관의 구분 및 진료유형, 증례보고 대상 환자의 주 진단명, 환자의 초진 평가 및 진단검사 도구, 계통적 문진 항목, 한의 진단 도구, 임상경과 평가도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증례들은 주요 질환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는데, 증례보고에서 한 개 이상의 심장 및 관상동맥 질환이 모두 진단명으로 보고된 경우 또는 임상환경상 추정진단을 하였거나 주요 원인증상을 일으키는 기저 질환을 특정하여 진단하지 못한 경우에는 보고된 진단명뿐 아니라 증례의 주요 치료목표가 되는 환자의 주소 증상 및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보고한 임상상태를 함께 참고하여 분류하였다.
4. 문헌 질 평가
증례 논문의 문헌 질 평가를 위해 CARE checklist를 활용하였다. 또한 CARE checklist는 본래 증례 연구 작성 지침이며 질 평가 도구가 아님을 고려하여 JBI checklist for case reports를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질 평가를 진행하였다. 지침의 각 항목을 보고한 경우 ‘Yes’, 보고하지 않은 경우 ‘No’, 직접적으로 보고하지 않았으나 연관 정황이 암시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등 보고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 ‘Unclear’, 의사 표현을 직접 할 수 없는 환자 증례보고에 대해 환자의 관점이 보고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경우와 같이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항목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Not applicable’로 나누어 CARE checklist의 30개의 항목과 JBI checklist의 8개 항목에 적용하였다. 두 명의 연구자(JM and MS)가 각각 독립적으로 질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가 합치하는지 확인하였으며, 의견 불일치 시 제3연구자(DS)의 개입으로 두 명 이상의 의견일치를 통해 결정하였다. 또한 질 평가 결과를 각 항목별 빈도로 요약하고 도표로 제시하였다.
5. HD/CAD 보고시 고려되어야 할 기본 보고항목 및 평가도구의 제시
추출된 자료를 종합, 요약하여 HD/CAD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보고항목과 평가도구를 정리하였다. 보고항목 및 평가도구의 형식은 COVID-19에 대한 문서화를 위해 증례보고 시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CARE for COVID-19 점검표를 차용하고 CARE guideline 중 환자정보, 임상적 발견, 진단적 평가, 한의학적 중재, 계통적 문진, 치료적 중재, 추적 관찰 및 결과의 보고 항목에 따라 열거하였다13. 작성된 보고 항목과 평가도구의 임상적 타당성 및 항목의 완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한의 임상연구자 2인, 한방 순환기내과 전문의 2인의 검토를 거쳤다.
III. 결 과
1. 최종 논문 선정
논문 선정 과정 및 그 결과를 Fig. 1에 제시하였다. 검색 결과 총 1421편의 연구가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었다. 중복을 제외하고 얻은 674편의 연구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보고 대상 질환이 HD/CAD이 아닌 연구 324편, 동물실험연구 37편, 세포실험연구 21편, 기타 문헌고찰, 서지학적 연구,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컴퓨터 모의실험연구, 전문가 합의, 설문조사연구 230편을 제외하고 62편의 연구의 본문을 검토하였다. 본문 검토를 통해 고혈압, 미주신경성실신, 심부정맥혈전증 환자의 증례를 보고한 연구 15편, 원문이 확보되지 않은 5편을 제외하고 총 42편의 연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2. 증례 별 초진진단, 임상경과 평가항목 및 시간경과의 보고
최종 선정된 증례보고들은 모두 HD/CAD의 한의 치료 경과 보고를 주요 혹은 부수적 목적으로 하였다. 각 증례보고의 원인질환에 따라 관상동맥질환 및 연관 증례, 심부전 및 연관 증례, 부정맥 및 연관 증례, 판막 질환, 치료 연관 합병증 및 기타 증례로 분류하여 저자와 출판연도, 임상환경, 증례 대상 환자의 연령, 주요 증상 및 증상발생기간, 주요 과거병력, 초진시 증상평가 및 진단검사에 활용한 도구들, 진단명, 치료기간 및 치료종료 후 추적관찰 기간, 임상경과 평가시 활용한 도구들을 Table 1에 제시하였다. 또한 각 원인질환의 분류에 따라 증례보고의 대상질환, 활용한 진단검사, 평가도구의 종류와 빈도를 요약하여 Table 2에 제시하였다. 전체 증례보고의 증상발생 후 초진 사이 기간의 중위수는 약 50일, 치료기간의 중위수는 약 22일이었다. 기저질환의 악화 환자 대상 보고는 10편이었다. 치료 종료 후 추적관찰기간은 전체 42편 연구 중 12편에서만 보고가 이루어졌으며 추적관찰기간의 중위수는 약 60일이었다.
1) 관상동맥질환 및 연관 증례보고
총 7편의 연구가 관상동맥질환 및 연관 증례보고로 분류되었다. 5편의 연구에서 협심증 환자를 대상으로 보고하였으며 기타 급성 심근경색, 관상동맥 심근교락(Myocardial bridge)을 보고하였다. 환자들의 주소증으로 흉통 또는 흉부 불편감이 공통적으로 보고되었으며, 기타 진단명, 질환 중증도, 합병증 등에 따라 호흡곤란, 피로, 어지럼증, 수면장애 등 여러 증상이 보고되었다. 과거 병력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뇌경색 등이 보고되었다. 초진 진단평가시 심전도검사(Electrocardiogram, ECG)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기타 흉부엑스레이, 심초음파, 관상동맥조영술, 심근관류영상이 활용되었다. 기타 임상병리검사 중 지질검사 및 트로포닌 검사 결과를 보고한 증례가 있었다. 보고된 증상들의 임상경과 보고와 관련하여 흉통, 호흡곤란, 심계항진을 비롯한 여러 증상에 Visual Analogue Scale(VAS), Numeric Rating Scale(NRS)이 주로 활용되었다. 수면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수면 중 각성 횟수, 수면시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를 활용한 증례보고가 있었다. 증상 변화에 따른 삶의 질 변화의 경우 EQ-5D-5L로 평가하여 보고한 연구가 있었다. 기타 임상경과 평가에 ECG, 지질 및 트로포닌의 임상병리검사를 활용한 연구가 있었다.
2) 심부전 및 연관 증례보고
총 7편의 연구가 심부전 및 연관 증례보고로 분류되었다. 6편의 연구에서 만성 울혈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외 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에 대해 보고하였다. 모든 연구에서 주소증으로 호흡곤란을 보고하였으며, 병태에 따라 기타 피로, 부종, 어지럼증, 오심구토 등이 주요 증상으로 보고되었다. 과거 병력으로 고혈압, 뇌경색, 협심증, 심방세동 등이 보고되었다. 초진 진단평가시 심전도와 흉부엑스레이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기타 심초음파, 전해질검사, BNP 및 NT-pro BNP 검사 등이 시행, 보고되었다. 증상들의 임상경과 보고와 관련하여 호흡곤란에 대해 VAS, Borg 호흡곤란척도와 Baseline dyspnea index(BDI)가 활용되었다. 기타 흉막삼출 및 부종의 경과 평가와 관련하여 소변의 양과 빈도를 측정하여 보고한 연구, 부종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평가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여 보고한 연구가 있었다. 또한 심부전으로 인한 심장 기능 상태를 NYHA 분류, Hugh-Jones 분류를 활용하여 평가, 보고한 연구가 있었다. 기타 흉막삼출 정도의 변화를 보고하기 위해 흉부엑스레이가 4편의 연구에서 활용되었으며 기타 ECG가 활용되었다.
3) 심근병증 및 연관 증례보고
총 3편의 연구가 심근병증 및 연관 증례보고로 분류되었으며, 확장성 심근병증, 심비대, 기타 특정되지 않은 심근병증 환자에 대해 보고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호흡곤란이 호소증상으로 보고되었으며, 기타 피로 및 과다수면, 흉통, 수족냉증, 어지럼증, 실신, 두통 등의 증상이 주소 증상으로 보고되었다. 과거 병력으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협심증, 고칼륨혈증, 지방간, 심비대, 동성서맥 등이 보고되었다. 초진 진단평가시 심전도와 흉부엑스레이가 2편의 연구에서 활용되었으며 기타 1편의 연구에서 심초음파가 활용되었으며, 기타 지질검사, 전해질검사,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등이 시행, 보고되었다. 증상들의 임상경과 보고와 관련하여 호흡곤란의 경우 빈도, 흉통의 경우 빈도와 VAS, 수면의 경우 수면시간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1편의 연구에서 임상경과 중 ECG의 변화를 평가하여 보고하였다.
4) 부정맥 및 연관 증례보고
총 16편의 연구가 부정맥 및 연관 증례보고로 분류되었다. 5편의 연구에서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 기타 동기능부전, 방실차단, 기외수축에 대해 보고하였으며 6편에서는 특정 원인질환의 보고 없이 심계항진 또는 부정맥을 대상으로 보고하였다. 다수의 연구에서 심계항진을 주소증으로 보고하였으며, 기타 어지럼증, 호흡곤란, 흉부 불편감 등이 주요 증상으로 보고되었다. 초진 진단평가시 ECG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기타 홀터모니터, 심초음파 검사가 다수 연구에서 활용되었다. 호소증상들의 임상경과 보고와 관련하여 심계항진에 대해 VAS, NRS, 발생빈도, 1회 발생 시 지속시간, 유럽 부정맥학회 증상분류(modified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classification)가 활용되었다. 또한 어지럼증에 대해 NRS 외에 어지럼증 장애 지수(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K-DHI)가 활용되었다. 또한 ECG와 홀터모니터가 6편의 보고에서 임상경과 평가에 활용되었다.
5) 판막질환 증례보고
승모판 협착증, 대동맥판 역류증, 승모판 역류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총 3편의 연구가 판막질환 증례보고로 분류되었다. 흉통이 모든 증례에서 주소증으로 보고되었으며 기타 심계항진, 호흡곤란, 두근거림 등이 주요 증상으로 보고되었다. 초진 진단평가를 위해 심초음파와 흉부엑스레이가 모든 연구에서 활용되었으며 기타 ECG가 활용되었다. 주요 증상들의 임상경과 평가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증상에 대해 NRS가 활용되었으며, 기타 심장 기능 평가를 위해 NYHA 분류가 활용되었다. 또한 ECG가 두 편의 연구에서 경과 평가에 활용되었다.
6) 치료합병증, 질환합병증 및 기타 증례보고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흉통, 심근경색 후 흉통,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심장질환, 심신증후군, 기타 기저 원인질환이 특정되지 않은 흉통에 대한 증례보고가 있었다. 모든 연구에서 흉통을 환자의 주소증으로 보고하였으며, 기타 병리에 따라 어지럼증, 호흡곤란, 부종 등을 주요 증상으로 보고하였다. 초진 진단평가를 위해 ECG가 5편의 연구에서 활용되었으며 기타 홀터모니터와 심초음파, 흉부엑스레이, 신장기능검사가 활용되었다. 주소증의 경과 보고와 관련하여 흉통에 대해 휴식 시 및 동작 시의 NRS, 발생빈도를 평가하였으며, 호흡곤란에 대해 BDI와 발생빈도, 수면장애에 대해 PSQI, 부종에 대해 체중, 종아리 둘레, 총 섭취량/배설량이 평가되었다. 기타 임상경과평가에 ECG, 홀터모니터, 흉부CT, 신장기능검사 등이 활용되었다.
3. 문헌 질 평가
최종 선택된 42편의 증례 보고에 대하여 CARE checklist의 내용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평가한 결과 ‘환자의 인구학적 정보’, ‘환자의 주된 증상 및 호소’, ‘치료적 중재’ 항목은 모든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임상적 발견’, ‘연대표’, ‘진단적 방법’, ‘고려된 기타 진단명을 포함한 진단적 추론’ 항목 또한 각각 약 88% 이상의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그러나 ‘치료 순응도 및 내약성’ 항목은 42편의 증례 보고 중 1편(2.38%)만이 보고하였으며, ‘이상반응 및 예상치 못한 사건’과 ‘사전 동의’ 항목은 28.57%의 논문에서 보고하였다.
JBI checklist의 내용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평가한 결과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환자의 현병력 및 주소증’, ‘증례 보고가 전달하는 교훈’ 항목에 대해 모든 논문이 충실하게 보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부작용 및 예상치 못한 사건의 확인 및 기술’ 항목에 대해서는 28.57%의 논문에서만 보고가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CARE checklist 및 JBI checklist를 통해 평가한 결과를 보고 빈도로 요약하여 Fig. S1과 Fig. S2에 각각 제시하였다.
4. HD/CAD 환자에 대한 한의 증례 보고시 고려되어야 할 기본 보고항목 및 평가도구
추출한 정보들을 종합, 요약하여 HD/CAD 환자들의 한의 증례보고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진단검사와 평가도구를 포함한 보고항목들을 Table 3에 제시하였으며, 한국어 버전을 Table S2에 제시하였다.
IV. 고 찰
본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심근병증, 부정맥 질환, 판막질환, 기타 질환합병증 또는 치료합병증 등의 HD/CAD에 대한 한의 증례보고들을 분석하여 보고 증례들의 대상 질환의 진단 및 평가에 활용된 도구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증례보고가 이루어진 임상환경, 환자들의 주소증상 및 병력과 함께 증상 발생시기, 치료 기간, 추적관찰 기간을 분석하여 HD/CAD에 대한 한의 증례보고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HD/CAD 환자의 초진진단 시 흉막삼출이나 전기생리적 이상과 같은 병태, 심박출량 평가 등을 위해 ECG, 홀터모니터, 심초음파 및 흉부영상검사 등이 주요하게 사용되었으며 혈액검사 시 전해질, BNP, 트로포닌 등 심장질환 특이 지표들이 평가되었다. 증례보고 대상자들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위험요소뿐 아니라 다른 심혈관질환 또는 뇌혈관질환의 과거병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감별진단 및 동반질환 평가를 위해 내분비계 검사, 신장기능검사, 중추신경계의 이학적검사와 영상검사 등의 추가적 검사도구가 활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대상 환자들의 다빈도 주소증상 중 호흡곤란에 대해 VAS, NRS, Borg 호흡곤란척도, Baseline dyspnea index 등의 평가도구가 활용되었으며, 심장 기능 평가를 위해 NYHA 분류, Hugh-Jones 분류 등이 활용되었다. 기타 흉통, 심계항진, 어지럼증 등의 평가에는 VAS, NRS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수면장애 평가를 위해 PSQI, 부종 평가를 위해 체중변화, 종아리 둘레 등의 평가가 추가적으로 활용되었다. 치료기간 및 추적관찰기간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증례보고가 3주 내외의 기간 동안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다수 연구에서 임상경과 상 호전을 보고하였으나 치료종료 후 추적관찰을 통해 경과를 보고한 연구는 28% 정도로 매우 적었다.
한의 치료는 HD/CAD의 임상경과를 개선하고 환자의 신체, 심리, 사회적 삶의 질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가능성은 급성심근경색이나 박출률 저하 심부전과 같은 주요 심혈관질환에 대한 한약의 유의한 효과를 보인 임상시험결과의 보고, 또는 한약 사용빈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재관류 시술 비율이 더 낮게 확인된 nested 환자-대조군연구 결과 등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10,11,65. 그러나 심방세동을 비롯한 고위험 부정맥질환, 박출률 보존 심부전, 급성 비대상성 심부전, 급성심근경색 등 여러 HD/CAD의 예방 및 급만성기 치료에 대한 한의 치료 근거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며 높은 수준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다양한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차 한의원의 임상 데이터 수집은 일차의료기관의 역할 비중이 매우 높은 한의 임상환경을 고려할 때 장기적 근거 마련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 한의의료기관을 포괄한 임상환경에서 HD/CAD에 대한 진단, 치료, 평가를 수행하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도구 및 수집항목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의 경우 고혈압이나 당뇨 등에 대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및 표준임상경로가 개발되어 각 질환의 주요 평가항목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나 HD/CAD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은 미비하며, 진단 지표의 변화 외에는 장단기적 주요 임상경과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 또는 환자자가보고결과(Patient-reported outcome, PRO)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66,67. 중국의 경우 심근경색에 대한 중의학과 의과치료 중재 적용 임상시험을 위한 Core outcome sets을 개발하여 제안한 바 있으나 이 역시 실제 한의 임상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므로 임상에 직접 적용하기는 어렵다68. 본 연구는 이러한 현황을 극복하기 위해 증례보고에서 활용된 진단평가 항목을 분석하여 증례보고 시 기본적으로 고려할 수집항목을 제안함으로써 실제 임상 환경에서 활용하기 용이한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HD/CAD에 대한 한의 증례보고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증례보고들은 다양한 종류의 HD/CAD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수가 환자의 주소증 및 지표들의 개선이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HD/CAD 환자들의 경우 병기 및 병태가 다양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다수의 합병증을 가지게 되므로 초진 진단평가시 다양한 사항을 고려한 치료 결정이 필요하다. 즉 심부전, 고위험 부정맥, 심근경색 등의 질환이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심장기능의 저하 및 그로 인한 병태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 환자의 주소증상 외에도 기존 심혈관질환의 급성 악화 여부, 다른 치명적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 재발 또는 사망 발생의 위험이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치료수단 및 임상경과가 달라질 수 있다69,70. 뿐만 아니라 HD/CAD의 경우 일차의료기관 사용자와 상급의료기관 사용자의 특성이 크게 다르며, 한의의료기관 사용자의 경우 의과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낮거나 잦은 재발, 높은 증상부담 등의 unmet needs를 가지는 등, 추가적인 특성 차이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71,72. 따라서 HD/CAD를 대상으로 증례를 보고하는 경우 환자의 병력이나 감별진단뿐 아니라 초진 당시의 병기 및 예후와 연관된 내용, 추적관찰 결과, 또는 추적관찰을 수행하지 못한 한계 등에 대해 보고하는 것이 중요하다73.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다수의 보고에서는 병기나 예후의 평가, 또는 추적관찰에 대한 보고가 부재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은 임상수행뿐 아니라 추후 증례를 비롯한 임상연구의 설계 등에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 심근의 질환, 부정맥 질환, 판막질환, 기타 질환합병증 또는 치료합병증 등의 HD/CAD에 대한 한의 증례보고들을 대상으로 증례보고의 현황을 분석하고 실제 임상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도구들을 포함한 증례보고 시 기본적으로 고려할 수집항목을 제시함으로써 HD/CAD에 대한 체계적인 한의 임상수행을 지원하고 후속 임상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증례보고 항목으로 제안한 진단검사 중에는 현 한의 임상환경 하에서는 의과와의 협진이 필요한 영상검사나 임상병리검사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각 의료기관의 임상환경에 따라 구분하여 제시하지는 않았는데, HD/CAD 환자들이 외부 기관에서 실시한 검사 결과를 가지고 한의의료기관에 내원하는 경우 해당 검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고하는 것은 한의 증례보고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중 하나이므로 여전히 실용적인 가치가 있다. 또한 질환에 따른 항목 제안보다는 종합적인 항목을 제안한 바, 본 연구는 HD/CAD 환자의 다양한 증상과 병태생리 개선을 고려하여 한의 치료와 증례보고에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평가 및 보고 항목을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한의학적 증례보고의 적용성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증례보고를 통해 한의 치료를 사용하는 HD/CAD 환자들의 특성을 포착하고 후속의 한의 증례보고시 병기 및 예후 평가, 추적관찰 등에 대한 내용을 보고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임상 및 후속 연구의 정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첫째, 포함된 증례보고 대다수가 한방병원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바를 일차의료기관인 한의원에서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보고된 대상질환이 HD/CAD 중 일부만을 포괄하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심장질환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 어렵다. 특히 한방병원 입원환자 대상 증례보고의 경우 특히 3차 예방에 한정된 심혈관질환 치료 목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결과의 활용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도구 및 보고항목들은 기존에 보고된 증례에서 활용하여 보고한 것들을 분석하여 제시한 것으로, 기존 증례에서 활용 또는 보고하지 않은 경우 포함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경과 중 운동능력의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6분보행검사, 함요부종의 경우 함요깊이 및 회복시간 등에 기준한 평가점수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으나 기존 증례보고에서 보고되지 않아 최종 제안에 포함되지 못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가 제한적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6분보행검사와 같은 운동능력평가지표는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한의원 환경에서는 활용하기 어려운 점, 또한 심장 및 관상동맥질환자 중 고령자의 비율이 높은 점 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는 실제 한의 임상환경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일차의료기관을 포함한 한의 임상환경에서 수집 가능한 항목을 조사하고자 한 연구 목표와도 부합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통해 한의원을 포함한 한의의료기관에서 현실적으로 평가 가능한 정량적 지표들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환자들의 주소증상 및 임상의가 주요하게 평가한 임상적 상태를 참고하여 임의로 분류하였지만 보고된 환자들에게 여러 HD/CAD 질환들이 함께 존재하거나 같은 범주로 분류한 환자들 간에도 임상적 이질성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자의 추정진단을 사용하되 한방 심계내과 전문의 2인의 검토를 받아 그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증례보고가 이루어진 의료기관의 임상환경에 따라 진단검사도구의 활용이 제한되어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여전히 포함된 증례문헌의 진단적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 포함된 증례들은 심장 및 관상동맥 질환에서 기인한 다양한 임상적 상태를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들이며 본 연구 목적상 심장 및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한의 증례에서 보고하여야 하는 항목들의 정리하고자 하였으므로, 개별 증례들의 진단의 정확성 문제는 본 연구의 한계로 남겨두고자 한다. 추후 후속 증례연구 등에서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환자 편의를 위해 심초음파, 홀터모니터, 심장혈관CT 등이 한의 임상진료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보험수가 적용 등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또다시 평가항목의 타당성 및 사용성을 포함한 한의의료기관 임상자료의 폭넓은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후속의 연구를 위해 본 연구 결과를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여전히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항목들에 대한 한의 임상의들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수집항목의 체계성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후속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후속의 대규모 한의 임상연구를 위한 개별 HD/CAD 특이적인 평가도구 및 Core Outcome Sets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임상적 진단 및 평가 도구에 중점을 두고 분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치료방법의 세부 보고 항목, 치료 순응도, 추적관찰과 같은 중요하지만 보고 빈도가 낮게 평가된 항목 등과 같은 중요 항목들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를 통해 현황분석 및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장, 단기적으로 다양한 예후를 가지는 HD/CAD 환자들에 대한 한의 임상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HD/CAD에 대한 한의 치료 목표를 다양한 병기 및 병태에 대해 정량적 지표와 함께 세분화함으로써 임상 경과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 심근의 질환, 부정맥 질환, 판막질환, 기타 질환합병증 또는 치료합병증 등의 HD/CAD에 대한 증례보고 문헌을 고찰하여 증례보고가 이루어진 임상환경, 진단, 치료 및 추적관찰 등에 대한 한의 증례보고의 특징을 확인하였으며, 보고대상 질환의 진단 및 평가에 활용된 도구들을 확인하여 필수적인 증례보고 시 기본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항목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특히 표준치료만으로는 한계를 경험하는 HD/CAD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에 대한 재현 가능한 체계적 한의 임상을 보조하고 확산 가능한 증례보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HD/CAD에 대한 한의 치료 효과의 최적화 및 높은 수준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후속 임상연구 수행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RS-2022-NR072366). This research was also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Health Technology Project through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grant no. RS-2023-KH139333).
References
Appendices
【Supplementary】

The reporting frequency of CARE checklist items of included case reports.
Item 1. Title. The diagnosis or intervention of primary focus followed by the words “case report”.
Item 2. Key Words. 2 to 5 key words that identify diagnoses or interventions in this case report, including “case report”.
Item 3a. Abstract. Introduction: What is unique about this case and what does it add to the scientific literature?
Item 3b. Abstract. Main symptoms and/or important clinical findings.
Item 3c. Abstract. The main diagnoses,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outcomes.
Item 3d. Abstract. Conclusion: What is the main “take-away” lesson(s) from this case?
Item 4. Introduction. One or two paragraphs summarizing why this case is unique (may include references).
Item 5a. Patient Information. De-identified patient specific information.
Item 5b. Patient Information. Primary concerns and symptoms of the patient.
Item 5c. Patient Information. Medical, family, and psychosocial history including relevant genetic information.
Item 5d. Patient Information. Relevant past interventions with outcomes.
Item 6. Clinical Findings. Describe significant physical examination (PE) and important clinical findings.
Item 7. Timeline. Historical and current information from this episode of care organized as a timeline.
Item 8a. Diagnostic Assessment. Diagnostic testing (such as PE, laboratory testing, imaging, surveys).
Item 8b. Diagnostic Assessment. Diagnostic challenges (such as access to testing, financial, or cultural).
Item 8c. Diagnostic Assessment. Diagnosis (including other diagnoses considered).
Item 8d. Diagnostic Assessment. Prognosis (such as staging in oncology) where applicable.
Item 9a. Therapeutic Interventions. Type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tem 9b. Therapeutic Interventions.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intervention (such as dosage, strength, duration).
Item 9c. Therapeutic Interventions. Changes in therapeutic intervention (with rationale).
Item 10a. Follow-Up and Outcomes. Clinician and patient-assessed outcomes (if available).
Item 10b. Follow-Up and Outcomes. Important follow-up diagnostic and other test results.
Item 10c. Follow-Up and Outcomes. Intervention adherence and tolerability (How was this assessed?).
Item 10d. Follow-Up and Outcomes. Adverse and unanticipated events.
Item 11a. Discussion. A scientific discussion of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is case report.
Item 11b. Discussion. Discussion of the relevant medical literature with references.
Item 11c. Discussion. The scientific rationale for any conclusions (including assessment of possible causes).
Item 11d. Discussion. The primary “take-away” lessons of this case report (without references) in a one paragraph conclusion.
Item 12. Patient Perspective. The patient should share their perspective in one to two paragraphs on the treatment(s) they received.
Item 13. Informed Consent. Did the patient give informed consent? Please provide if requested.

The reporting frequency of JBI checklist items of included case reports.
Item 1. Were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early described?
Item 2. Was the patient’s history clearly described and presented as a timeline?
Item 3. Was the current clinical condition of the patient on presentation clearly described?
Item 4. Were diagnostic tests or assessment methods and the results clearly described?
Item 5. Was the intervention (s) or treatment procedure (s) clearly described?
Item 6. Was the post-intervention clinical condition clearly described?
Item 7. Were adverse events (harms) or unanticipated events identified and described?
Item 8. Does the case report provide takeaway les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