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7 Warning: chmod()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3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8 Warning: fopen(/home/virtual/jikm/journal/upload/ip_log/ip_log_2025-07.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95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96 교통사고 이후 배부(背部) 통증을 동반한 심화된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복합 한의 치료 중 夾脊穴 치료 3례

교통사고 이후 배부(背部) 통증을 동반한 심화된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복합 한의 치료 중 夾脊穴 치료 3례

Three Case Reports on the Use of Hyeopcheok (Jiaji) Point Therapy in the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f Severe Dyspepsia Accompanied by Upper Back Pain Following a Traffic Accident

Article information

J Int Korean Med. 2025;46(2):232-24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May 30
doi : https://doi.org/10.22246/jikm.2025.46.2.232
민자현1, 박수정1, 김지수1, 김정현2, 박기태3, 선정흠4
1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1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Korean Medicine, Daejeon Jaseng Hospital of Korean Medicine
2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2 Dep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aejeon Jaseng Hospital of Korean Medicine
3 대전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3 Dept.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Daejeon Jaseng Hospital of Korean Medicine
4 참잘함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4 Dep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Cham-jal-ham Korean Medicine Hospital
·교신저자: 민자현 대전광역시 서구 문정로 48번길 58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TEL: 042-1577-0007 FAX: 042-610-0538 E-mail: 88jahyun@naver.com
Received 2025 April 22; Revised 2025 May 14; Accepted 2025 May 14.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presents three cases of patients with a history of functional dyspepsia whose symptoms worsened following traffic accidents accompanied by upper back pain.

Methods:

All patients received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including acupuncture at the Hyeopcheok (Jiaji) point, herbal medicine (Insamyangwi-tang), cupping, and moxibustion. Symptoms were assessed at admission and discharge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the European Quality of Life-5 Dimensions (EQ-5D), and the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 (GIS).

Results:

After treatment, all patients experienced reduced upper back pain and improved dyspepsia symptoms. NRS and GIS scores decreased and EQ-5D scores increased, indicating symptomatic relief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No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Conclusion:

This case series suggests that Hyeopcheok (Jiaji) point acupuncture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dyspepsia exacerbated by trauma-induced paraspinal muscle tension. These findings support further investigation of Korean medicine approaches for post-accident gastrointestinal disorders.

I. 서 론

소화불량(dyspepsia)은 1차 의료기관에서 접하기 쉬운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로 식사 여부와는 상관없이 주로 상복부 중앙에 복통 및 불편감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1.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게서 위내시경상 기질적인 질환이 발견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기질적인 질환이 발견되지 않은 소화불량의 경우 기능성 소화불량이라고 할 수 있다1.

ROME IV 진단 기준에 따르면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불쾌한 식후 포만감(bothersome postprandial fullness), 불쾌한 조기 만복감(bothersome early satiation), 불쾌한 상복부 통증(bothersome epigastric pain), 불쾌한 상복부 속쓰림(bothersome epigastric burning) 중 1가지 이상의 증상이 진단 6개월 이전부터 발생했으며 최근 3개월 이내에도 지속될 때로 정의한다2. 기능성 소화불량은 증상과 부위에 따라 식후 불편감 증후군(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PDS)과 상복부 통증 증후군(Epigastric pain syndrome, EPS)으로 나누어 분류한다. PDS 같은 경우에는 불쾌한 식후 포만감이나 불쾌한 조기 만복감이 일주일에 3회 이상 발생해야 하고 EPS는 불쾌한 상복부 통증이나 불쾌한 상복부 속쓰림이 일주일에 1회 이상 발생해야 진단할 수 있다2.

2016년 9월에서 2017년 6월까지 수행된 다기관 연구에 따르면 국내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유병률은 10.3%로 임상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이다. 서양의학의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일차적 치료는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한 양성자펌프억제제, 위장 운동 촉진제, 위산분비억제제,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항우울제 등의 약물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기존 서양 의학적 약물이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며 추체외로 증상, QT 간격 연장, 어지러움, 식욕부진 등의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3,4. 따라서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에 대한 대안적인 치료법으로서 한의 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1년에 기능성 소화불량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이 개발되었고 2024년 4월 29일부터 시행된 첩약 건강보험 2단계 시범 사업 대상 질환에 기능성 소화불량이 추가되기도 했다.

한의학에서 기능성소화불량은 痞滿, 噯氣, 呑酸, 嘈囃, 胃脘痛 등의 병증에 해당하며 발생기전은 脾胃氣虛를 바탕으로 氣滯, 食積, 痰飮, 濕熱 등이 서로 뒤섞이며 나타나거나 虛實寒熱이 동시에 보이기도 한다. 임상적으로 食積, 氣鬱, 痰飮 등의 병인이 두드러진 實證의 양상인지, 위장의 운동기능 저하가 두드러진 虛證의 양상인지를 구분하여 本虛表實한 정도를 결정하여 환자의 증상 개선을 위한 한약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또한, 증상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하여 침(전침 포함) 치료, 뜸 치료, 추나 치료 및 명상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4.

한편, 국내 자동차 수 보급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5. 교통사고 발생 건수의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 이후 발생한 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한의 복합 치료에 관한 연구는 다수 있지만 교통사고 이후 나타난 증상을 기존에 가지고 있던 소화기 질환과 연관 지어 치료한 사례는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이후 심화된 소화기 질환이 교통사고로 인한 척추 심부근 긴장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치료한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 중 교통사고 이후 소화불량의 심화와 배부(背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하여 夾脊穴이 위치하는 척추 심부근 긴장으로 인해 소화기 관련 교감신경이 자극되어 소화 기능의 장애가 야기된 것으로 보고 夾脊穴에 침 치료를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된 3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II. 본 론

1. 연구 대상

본 증례는 2024년 3월 1일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한방병원에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 중 기능성 소화불량의 기왕력을 갖고 있는 환자 중에서 교통사고 이후 소화불량 증상이 심화되었고 배부(背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증례 보고로서, 자생한방병원의 의학 연구 윤리심의위원회(IRB)로부터 승인 번호 교부하 진행되었다(IRB File No. JASENG 2025- 04-005).

2. 증례보고

1) 증례 1

44세 여성 환자로 2024년 03월경 발생한 차량 간 교통사고 이후 발생한 배부 통증, 경항통을 주소로 입원하였고 기존에 호소하던 상복부 불편감이 심화되어 흉추의 염좌 및 긴장, 경추의 염좌 및 긴장, 기능성 소화불량 진단하에 수상일 4일 차부터 수상일 14일 차까지 11일간 입원 치료하였다. 해당 환자의 입원 1일 차에 촬영한 T-SPINE X-RAY 소견상 별무소견으로 확인하였다. 사고 이전부터 소화불량의 기왕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2022년 08월경 최초 발생하였으며 2023년 11월경 타 병원 내시경 검사상 기질적 이상을 의심할 만한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문진상 PDS에 속하는 불쾌한 식후 포만감과 불쾌한 조기 만복감은 평균 3회/1주, EPS에 속하는 불쾌한 상복부 통증과 불쾌한 상복부 속쓰림은 평균 6회/1주 호소하였고 기질적 이상을 의심할 만한 소견을 보이지 않아 ROME IV 진단 기준에 부합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하였다. 본 환자는 입원 시부터 배부 통증과 불쾌한 상복부 통증과 불쾌한 조기 만복감을 호소하였으며 기력 저하와 묽은 변 증상을 호소하였고 齒痕이 있고 舌苔가 白膩하며 脈이 細濡하여 脾虛痰濕型 소화불량으로 진단하였다.

2) 증례 2

42세 여성 환자로 2024년 07월경 발생한 차량 간 교통사고 이후 발생한 배부 통증, 경항통을 주소로 입원하였고 기존에 호소하던 상복부 불편감이 심화되어 흉추의 염좌 및 긴장, 경추의 염좌 및 긴장, 기능성 소화불량 진단하에 수상일 1일 차부터 수상일 11일 차까지 11일간 입원 치료하였다. 입원 1일 차에 촬영한 T-SPINE X-RAY 소견상 별무소견으로 확인하였다. 사고 이전부터 소화불량의 기왕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2024년 01월경 최초 발생하였고 2024년 1월경 타 병원 내시경 검사상 이상 없음으로 진단받고 약물 치료 후 미약 호전 보였으나 그 후로도 소화불량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문진상 EPS에 속하는 불쾌한 상복부 통증과 불쾌한 상복부 속쓰림은 평균 5회/1주 호소하였고 기질적 이상을 의심할 만한 소견을 보이지 않아 ROME IV 진단 기준에 부합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하였다. 본 환자는 입원 시부터 배부 통증과 상복부 통증, 상복부 속쓰림을 호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기력이 떨어지고 묽은 변 증상을 호소하였고 舌苔가 白膩하며 脈이 細濡하여 脾虛痰濕型 소화불량으로 진단하였다.

3) 증례 3

66세 여성 환자로 2024년 07월경 발생한 차량 간 교통사고 이후 발생한 배부 통증, 경항통을 주소로 입원하였고 기존에 호소하던 상복부 불편감이 심화되어 흉추의 염좌 및 긴장, 경추의 염좌 및 긴장, 기능성 소화불량 진단하에 수상일 2일 차부터 수상일 8일 차까지 7일간 입원 치료하였다. 입원 1일 차에 촬영한 해당 환자의 T-SPINE X-RAY 소견상 별무소견으로 확인하였다. 사고 이전부터 소화불량의 기왕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2023년 06월경 최초 발생하였으며 2024년 04월경 타 병원 내시경 검사상 기질적 이상을 의심할 만한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문진상 PDS에 속하는 불쾌한 식후 포만감과 불쾌한 조기 만복감은 평균 7회/1주, EPS에 속하는 불쾌한 상복부 통증과 불쾌한 상복부 속쓰림은 평균 4회/1주 호소하였고 기질적 이상을 의심할 만한 소견을 보이지 않아 ROME IV 진단 기준에 부합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하였다. 본 환자는 입원 시부터 배부 통증과 불쾌한 식후 포만감과 불쾌한 상복부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환자는 입원 시 힘이 없고 가끔 변이 묽다고 호소하였고 齒痕이 약간 있고 舌苔가 白膩하며 脈이 細濡하여 脾虛痰濕型 소화불량으로 진단하였다.

증례1, 2, 3 환자 모두 입원 기간 동안 교통사고로 발생한 경항통에 대하여 0.20×30 mm stainless steel(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을 사용하여 1일 오전, 오후 2회 15분 동안 풍지(GB20, 風池), 풍부(GV16, 風府) 혈자리에 침치료를 시행하였고 부항 치료는 1일 오전, 오후 2회 환자의 대추(GV14, 大椎) 혈자리에 부항 자락 요법을 시행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교통사고로 발생한 배부 통증과 심화된 소화불량 증상에 대하여 0.20×30 mm stainless steel (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을 사용하여 1일 오전, 오후 2회 15분 동안 하부 흉추 주위에 위치한 夾脊穴 중 압통점에 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부항 치료는 치료 시마다 자침 후 시행하였으며, 양측 위수(BL21, 胃兪), 비수(BL20, 脾兪)혈자리에 자락 요법을 시행하였다. 뜸치료는 1일 오전, 오후 2회 10분씩 중완(CV12, 中脘)에 시행하였고 간접구는 왕뜸을 사용하였다. 한약 치료는 입원 1, 2일 차에는 오적산(연조 엑스, 한풍제약, 15 g)을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1회 2포씩 투약하였고 입원 3일 차부터 퇴원일까지 인삼양위탕 가미방을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2첩 2포 120 cc로 전탕하여 1회 1포 처방하여 투약하였다(Table 1, 2). 소화불량 증상에 대한 서양 의학적 치료는 병행되지 않았다. 배부 통증에 대한 NRS 평가는 입원일부터 퇴원일까지 매일 실시하였다. EQ-5D 평가와 GIS 평가는 입원일과 퇴원일에 총 2회 실시하였다.

Prescription of Ojeok-san Soft Extract (Wǔ Jī Sǎn)

Prescription of Insamyangwi-tang-gami

3. 평가 방법

1) Numeral Rating Scale(NRS)

NRS는 0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중증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평가지표이다. 환자가 호소하는 배부 통증 정도에 대해 입원일, 퇴원일 총 2회 평가하였다. 0점을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 10점을 견디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있는 상태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이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2)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EQ-5D)

환자 삶의 질 측정 도구로 건강 상태의 변화(EQ-5D)를 측정하였다. 환자 삶의 질의 첫번째의 목적인 통증 완화, 일반적인 활동 정도에 따른 불안, 불편 등을 건강의 평가를 위한 척도로 사용되었다. 총점수는 1점이 만점이고, 1점으로 가까울수록 삶의 질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일, 퇴원일 총 2회 EQ-5D를 측정하였다.

3)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GIS)

기능성 소화불량의 증상 및 환자의 불편감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GIS)를 사용하였다. 총 10가지 문항, 오심(nausea), 구역감(sickness), 구토(vomiting), 복부 팽만감(fullness), 복부경련감(abdominal cramps),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속쓰림(heartburn), 식욕부진(lack of appetite), 흉골 뒤 불편감(retrosternal discomfort), 상복부 통증(upper abdominal pa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0점(전혀 그렇지 않다, none)부터 4점(매우 많이 그렇다, very severe) 사이를 선택하여 총합을 계산하였다. 총 40점 만점으로, 40점에 가까워질수록 증상이 심한 것으로 평가하며, 입원일, 퇴원일 총 2회 평가하였다(Table 3).

Gastrointestinal Symptom Questionnaire

4. 자료 분석

연구 대상 환자의 입원일과 퇴원일 일자의 NRS, EQ-5D, GIS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통계 처리는 따로 진행하지 않았다.

III. 결 과

1. 치료 경과

1) 증례 1

입원 첫날부터 배부 통증과 불쾌한 상복부 통증과 불쾌한 조기 만복감을 호소하였다. 입원 2일 차부터 1일 2회 하부 흉추 주변 夾脊穴 중 압통점에 침 치료 및 背兪穴에 부항 치료를 시행하였고 입원 1, 2일 차에 오적산을 1일 2회 복용하였고 입원 3일 차부터는 인삼양위탕 가미방을 1일 2회 복용하였다. 입원 4일차부터 조기 만복감은 유지되었으나 배부 통증과 상복부 통증의 정도가 호전되어 퇴원 시까지 총 10일간 치료하였고 퇴원 시에는 배부 통증은 거의 호소하지 않았으며 완화된 조기 만복감과 경미한 상복부 통증 증상만 남아 있었다. 입원 치료 기간 동안 치료에 대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퇴원 후 환자의 추적 관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증례 2

입원 첫날부터 배부 통증과 식후 심해지는 불쾌한 상복부 통증과 식사와 관계없이 간헐적인 불쾌한 상복부 속 쓰림을 호소하였다. 입원 2일 차부터 1일 2회 하부 흉추 주변 夾脊穴 중 압통점에 침 치료를 시행하였고 입원 1, 2일 차에 오적산을 1일 2회 복용하였고 입원 3일 차부터는 인삼양위탕 가미방을 1일 2회 복용하였다. 입원 3일차부터 배부 통증과 상복부 통증 정도가 줄어들기 시작하여 퇴원 시까지 총 10일간 치료하였고 퇴원 시에는 배부 통증과 상복부 통증은 거의 호소하지 않았으며 경미한 상복부 속 쓰림 증상만 남아 있었다. 입원 치료 기간 동안 치료에 대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퇴원 후 환자의 추적 관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3) 증례 3

입원 첫날부터 배부 통증과 불쾌한 식후 포만감과 식후에 심해지는 불쾌한 상복부 통증 호소하였다. 입원 2일 차부터 1일 2회 하부 흉추 주변 夾脊穴 중 압통점에 침 치료를 시행하였고 입원 1, 2일 차에 오적산을 1일 2회 복용하였고 입원 3일 차부터는 인삼양위탕 가미방을 1일 2회 복용하였다. 입원 3일 차부터 배부 통증과 식후 포만감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여 퇴원 시까지 총 7일간 치료하였고 퇴원 시에는 배부 통증과 식후 포만감은 거의 호소하지 않았으며 간헐적인 상복부 통증만 남아있었다. 입원 치료 기간 동안 치료에 대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퇴원 후 환자의 추적 관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치료 평가

증례 1 환자는 입원 1일 차에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5였으며, 입원 5일 차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4, 입원 11일 차 퇴원 시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2로 감소하였다(Fig. 1). 입원 1일 차 EQ-5D는 0.677이었으며, 퇴원 시 EQ-5D는 0.808로 증가하였다(Fig. 2). 입원 1일 차에 GIS는 24였으며, 퇴원 시 GIS는 12로 감소하였다(Fig. 3).

Fig. 1

Changes of numeral rating scale (NRS) for back pain.

Fig. 2

Changes of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 (EQ-5D).

Fig. 3

Chang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 (GIS).

증례 2 환자는 입원 1일 차에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7이었으며, 입원 5일 차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5, 입원 11일 차 퇴원 시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1로 감소하였다(Fig. 1). 입원 1일 차 EQ-5D는 0.473이었으며, 퇴원 시 EQ-5D는 0.830으로 증가하였다(Fig. 2). 입원 1일 차에 GIS는 26였으며, 퇴원 시 GIS는 15로 감소하였다(Fig. 3).

증례 3 환자는 입원 1일 차에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5였으며, 입원 5일 차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3, 입원 7일 차 퇴원 시 배부 통증에 대한 NRS는 2로 감소하였다(Fig. 1). 입원 1일 차에 EQ-5D는 0.707이었으며, 퇴원 시 EQ-5D는 0.752으로 증가하였다(Fig. 2). 입원 1일 차에 GIS는 17였으며, 퇴원 시 GIS는 12로 감소하였다(Fig. 3).

IV. 고 찰

본 증례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 중에서 교통사고 이후 소화불량 증상이 심화되었고 배부(背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3명에 대해 입원치료 기간 동안 하부 흉추 주변 夾脊穴 침 치료 및 인삼양위탕 가미방의 한약 투여 등의 복합 한의 치료를 통해 증상 개선을 끌어냈다.

본 증례의 환자들이 배부 심부 근육의 통증과 부가적으로 소화불량을 호소하여 침 치료에 활용한 夾脊穴은 華陀夾脊穴 또는 他脊穴, 脊傍穴로 불리는 經外奇穴로 제1흉추에서 제5요추의 정중선 양방 0.5寸에 위치하며 그 해부학적 위치가 척추 옆 신경절과 인접해 있다6. 夾脊穴은 예로부터 소화기 질환을 포함한 오장육부 질환, 운동기계, 신경계, 비뇨기계 등을 치료하는데 자주 활용되었고, 중국에는 夾脊穴 침 치료를 통해 소화불량을 치료한 156례, 급성 상복 통증을 치료한 48례, 만성 장염을 치료한 27례 등 소화기 계통에도 임상 활용이 광범위하나, 한국에는 夾脊穴 침 치료를 통해 소화기 장애를 치료한 논문은 존재하지 않는다6.

교통사고로 인해 夾脊穴 근처 배부에 위치한 다열근과 같은 심부 근육이 긴장되면 그 사이 공간을 주행하는 신경에 압박을 가하여 해당 분절의 신경이 지배하는 내장기에 병변을 야기할 수 있는데, 신경근이 자극되면 해당 분절의 지배근의 단축을 유발하며, 척추 주위근이 단축되면 신경근의 압박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7. 이는 가는 신경섬유(Aδ, C)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켜 교감신경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기계적, 화학적 자극에 민감해지게 되어 해당 분절의 구심성의 가는 신경섬유를 감작하여 악순환의 시작이 될 수 있다7. T5~9의 척수분절에서 나오는 교감신경은 주로 소화기로 주행하는데 배부 심부 근육이 단축되면 그 사이를 주행하는 교감신경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소화기관으로 주행하는 혈관을 수축시킴으로써 소화기를 허혈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소화 기능을 저하시키며 심부 근육의 긴장이 완화되면 교감신경이 지배하는 내장기 원심성 신호의 항진을 억제할 수 있다7.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는 夾脊穴을 치료함으로써 배부 심부근의 긴장을 풀어 배부 통증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소화기와 관련된 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떨어뜨려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족태양방광경 1선에 포함된 背兪穴을 통해 배부 심부 근육에 접근할 수도 있으나, 背兪穴은 정중선에서 1寸에 위치해 있어 자침 시 기흉 위험이 존재한다. 반면 夾脊穴은 정중선에서 0.5寸에 위치하므로 直刺 할 때 흉강이나 복강의 장기를 상하지 않고 안전하게 자침할 수 있으며 甚刺時에도 椎板이 針尖을 가로막아 夾脊穴에 대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위치로 보여진다8.

본 증례의 환자들에게 교통사고로 인한 경항통과 배통을 치료할 목적으로 입원 1, 2일 차에 오적산을 2일간 투여하였다. 오적산은 發汗解表, 行氣, 活血 등의 작용을 하여 관절 및 신경의 통증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였다9.

입원 3일 차부터 경항통, 배통과 소화불량 증상을 함께 치료하기 위하여 인삼양위탕에 桃仁, 紅花, 骨碎補를 加한 처방을 투약하였다. 본 증례의 환자들은 입원 당시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과 함께 전반적인 기력저하, 묽은 변 증상을 호소하였고 舌苔가 白膩하며 脈이 細濡하였다. 따라서 한의학적으로 脾虛濕困에 의한 소화불량으로 변증하고 健脾燥濕을 위해 인삼양위탕 가미방을 처방하기로 했다. 인삼양위탕은 中焦의 飮食停滯를 치료하는 平胃散에 一切의 痰飮을 치료하는 二陳湯의 약물인 半夏, 赤茯苓과 藿香, 人蔘, 草果, 烏梅를 가한 방제로 귀경은 脾胃經이 대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建脾燥濕, 溫中, 理氣, 去痰 하는 효능이 있어 본 증례의 처방으로 사용하였다10. 인삼양위탕은 생쥐, 흰쥐, 家兎 및 모르모트에서 acetylchol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으로 수축된 回腸官에 대하여 근원적 이완성을 나타내었으며 위액 및 pepsin 분비 억제 작용에 의한 유의성 있는 항궤양 효과가 인정되며 위장질환에 유효하다고 입증되었다10. 또한 교통사고로 인한 어혈을 제거하기 위해 인삼양위탕에 加한 桃仁과 紅花, 骨碎補는 瘀血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活血祛瘀 작용이 있으며 그중 骨碎補는 骨을 强健하게 하므로 타박, 염좌 등에 활용할 수 있다11.

본 증례보고에서 교통사고 이후 배부 통증과 심화된 소화불량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 대하여 배부 협척혈 침 치료 및 인삼양위탕 가미방 투여를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 후 배부 통증 완화, 소화기 증상 개선, 삶의 질 향상이 나타났다. 치료 기간 동안 이상 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3례에 불과한 증례 연구로서 통계적인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협척혈 침 치료 및 인삼양위탕 가미방 투여 외에 경항통 치료를 위한 기타 복합적인 치료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특정한 치료의 효과를 독립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교통사고 이후 발생한 근골격계 증상과 소화기계 증상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두 증상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한의 치료의 효과를 더욱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V. 결 론

본 증례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 중에서 교통사고 이후 소화불량 증상이 심화되었고 배부(背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3명에 대해 입원치료 기간 동안 夾脊穴 침 치료 및 인삼양위탕 가미방의 한약 투여 등의 복합 한의 치료를 통해 그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24년 03월 01일부터 2024년 08월 31일까지 총 3명의 환자에게 배부 夾脊穴 침 치료를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 후 배부 통증 및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들이 유의미하게 호전되었다.

환자들은 치료 이후 NRS, EQ-5D, GIS 점수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배부 통증과 소화기 증상 모두에서 증상 완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부 夾脊穴 침 치료를 포함한 복합 한의 치료가 교통사고로 발생한 배부 심부근 긴장으로 인해 소화불량 증상이 심해진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조군이 없는 연구이기 때문에 방법론상의 한계가 존재하지만 전향적 관찰연구나 대조군 연구 등의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되는 임상 관찰을 제시하였고 추후 임상의들에게 교통사고 이후 근골격계 증상과 함께 소화기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들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안한다는 의미가 있다.

References

1. The National College of Korean Medicine Spleen System International Medicine classroom. Spleen System International Medicine Seoul: Koonja; 2020. p. 264–344.
2. Stanghellini V, Chan FKL, Hasler WL, Malagelada JR, Suzuki H, Tack J, et 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16;150(6):1380–92.
3. Cho MJ, Lee B, Choi YE, Kwon Oj, Lim MY, Ko SJ, et al. Administration of Yijung-tang, Pyeongwi-san, and Shihosogan-tang for Standardization of Korean Medicine Pattern Identification for Functional Dyspepsia: A Study Protocol of a Randomized, Assessor-blind, 3-Arm, Paralel, Open-label, Multicenter Clinical Trial. J Int Korean Med 2022;43(6):1105–21.
4. Medicine TSoIK. Functional dyspepsia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Gyeongsan: NIKOM. Edth ed. 2021. p. 2–6.
5. Song YA, Lee SY.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in the Automobile Insurance. KIRI Report 2017;2017(17):1–126.
6. Ahn SG, Lee SR, Yang YS. The Treatise Research on Hua-Tuo-Jia-Ji-Xue (華陀夾脊穴).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Moxibustion Society 2000;17(4):139–48.
7. Hwang MS. Study on the Treatment Mechanism of Back-Shu Points for Organ Dysfunctio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6;33(3):95–101.
8. Nam JK, Lee MJ, Kim HJ. The Clinical Study on Hua-Tuo-Jia-Ji-Xue Acupuncture Treatment to Neuropathic Pain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J Oriental Rehab Med 2010;20(2):183–90.
9. Kim JH, Lee DH, Kim JH, Jung SE, Ham SH, Yang WM,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jeok-san in LPS-induced Inflammatory Rat Model. Journal of Korean Medicine 2021;42(2):21–30.
10. Hong ND, Jeong GM, Lee DH, Joo SM. Studies on the Efficacy of the Combined Preparation of Crude Drugs (XXV) : Effects of Insamyangweetang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986;17(3):215–22.
11. Korean Association of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Herbology Seoul: Younglimsa; 2010. p. 462–4. 612-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Prescription of Ojeok-san Soft Extract (Wǔ Jī Sǎn)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 (g)/day
蒼 朮 Atractylodis Rhizoma 10.00
麻 黃 Ephedrae Herba 5.00
陳 皮 CitriUnshius Pericarpium 5.00
厚 朴 Magnoliae Cortex 4.00
桔 梗 Platycodonis Radix 4.00
枳 殼 Aurantii Fructus Immaturus 4.00
當 歸 Angelicae Gigantis Radix 4.00
乾 薑 Zingiberis Rhizoma 4.00
芍 藥 Paeoniae Radix 4.00
茯 笭 Poria Sclerotium 4.00
川 芎 Cnidii Rhizoma 3.52
白 芷 Angelicae Dahuricae Radix 3.52
半 夏 Pinelliae Tuber 3.52
肉 桂 Cinnamomi Cortex 3.52
甘 草 Glycyrrhizae Radixet Rhizoma 3.00
生 薑 Zingiberis Rhizoma Recens 2.00

Table 2

Prescription of Insamyangwi-tang-gami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 (g)/day
蒼 朮 Atractylodis Rhizoma 3.00
陳 皮 Citri Unshii Pericarpium 3.00
厚 朴 Magnoliae Cortex 2.00
生 薑 Zingiberis Rhizoma Crudus 3.00
大 棗 JujubaeFructus 2.00
半 夏 (薑製) Pinelliae Rhizoma 2.00
赤茯苓 Poria cocos (Schw.) Wolf 2.00
烏 梅 Mume Fructus 2.00
人 蔘 Ginseng Radix Alba 1.00
草 果 AmomiTsao-Ko Fructus 1.60
藿 香 Agastachis Herba 1.60
甘 草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1.00
桃 仁 Persicae Semen 1.00
紅 花 Carthami Flos 1.60
骨碎補 Drynaria Rhizome 1.00

Table 3

Gastrointestinal Symptom Questionnaire

Absent (0) Low intensity (1) Moderate intensity (2) Severe intensity (3) Very severe intensity (4)
1. Nausea
2. Sickness
3. Vomiting
4. Fullness
5. Abdominal cramps
6. Early satiety
7. Heartburn
8. Lack of appetite
9. Retrosternal discomfort
10. Upper abdominal pain

Total Score

Fig. 1

Changes of numeral rating scale (NRS) for back pain.

Fig. 2

Changes of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 (EQ-5D).

Fig. 3

Chang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 (GIS).